지자체 아동학대 대책 고심…예산·근절 의지 관건<br /><br />[앵커]<br /><br />'정인이 사건' 이후 각 지자체별로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입니다.<br /><br />조사와 상담을 강화하고 전담 기구를 만드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br /><br />이런 대책이 정말 효과를 보려면 어떤 점이 강화돼야 할지 알아봤습니다.<br /><br />최덕재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서울 은평구는 아동학대 조사를 전담하는 아동보호 팀을 신설하기로 했습니다.<br /><br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 5명과 전담 요원 4명을 배치해 아동학대 의심 상황이 발생하면 초기에 즉시 상담을 실시하게 했습니다.<br /><br />구청 관계자는 "현재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은 전담 공무원을 두고 있다"며 "인력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br /><br />경기도는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통해 장기 결석 아동, 나이가 찼지만 미취학한 아동 등 약 490명을 조사했습니다.<br /><br />이를 통해 아동을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연계시켜주는 등 복지서비스를 지원했습니다.<br /><br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각 지자체별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br /><br />대구시는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을 배치해 고위험 아동 소재와 안전 등을 전수조사하고, 순천에는 전남 동부권에선 처음으로 아동인권팀이 신설됐습니다.<br /><br />전문가들은 이런 정책들이 효과를 내려면 학대를 근절하겠다는 의지, 그리고 예산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br /><br />당장 예산을 늘리기 어려울 수 있지만, 비효율적으로 쓰이는 예산들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br /><br /> "아동학대 예방의 날 캠페인 비용 얼마, 이런 게 왜 중요하냐고요. 생색내기용이 많습니다. 그런 비용을 돌리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br /><br />전문가들은 아동학대를 근절하겠다는 지자체장들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