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 시장 열기가 뜨거워지면서 개인투자자는 물론이고 정치권에 국제통화기금 IMF까지 가세해 공매도 재개 찬반 논란이 가열되고 있습니다. <br /> <br />금융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br /> <br />보도에 이종수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공매도 영구금지를 요청하는 청원이 올라와 있습니다. <br /> <br />지난 29일 오전까지 참여 인원이 20만 명을 훌쩍 넘어섰습니다. <br /> <br />청와대나 관계부처가 답해야 하는 요건을 갖춰 어떤 답변을 내놓을지 개인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br /> <br />개인투자자들이 공매도에 이처럼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잘못된 제도를 먼저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br /> <br />[정세균 / 국무총리 (지난 28일) : 선 제도개선 후 도입 그러니까 후 시행이죠.] <br /> <br />개인투자자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공매도가 기관과 외국인에게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br /> <br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 판 뒤 주가가 떨어졌을 때 주식을 사서 되갚으면서 차익을 얻는 투자기법입니다. <br /> <br />정보력이 뛰어난 외국인과 기관이 공매도 물량을 쏟아내 주가가 떨어지면 개인투자자는 앉아서 당할 수 밖에 없다는 겁니다. <br /> <br />실제 지난해 1월부터 코로나19 사태로 주가가 폭락해 공매도가 금지된 3월 13일까지 공매도 물량의 비중을 보면 기관이 50%, 외국인이 49.2%나 되는 반면 개인투자자는 0.8%에 불과했습니다. <br /> <br />이에 대해 글로벌 금융사 등 해외 투자자에게는 공매도는 위험을 회피하는 주요 수단입니다. <br /> <br />공매도가 없다면 그만큼 투자 유인이 적어지는 겁니다. <br /> <br />국제통화기금 IMF도 지난 28일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 금융시장이 많이 안정돼 보이고 경제도 회복하는 측면이 있어 공매도 재개가 가능하다"고 공매도 재개 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br /> <br />IMF의 공매도 재개 권고를 받은 금융위원회는 현재 불법 공매도 처벌 강화, 시장조성자 제도 개선, 개인의 공매도 참여 확대 등에 초점을 맞춰 제도 개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br /> <br />그러면서 예정대로 오는 3월 16일 공매도를 재개하는 방안과 공매도 금지를 3달 더 연장해 제도를 보완하는 방안을 두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br /> <br />YTN 이종수[jslee@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10130225037943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