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란 핵합의 복귀 평행선…"네가 먼저"<br /><br />[앵커]<br /><br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과 이란이 핵합의 복귀 문제를 두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습니다.<br /><br />두 나라는 상대에게 먼저 핵합의를 이행하라고 촉구하는 상황인데요.<br /><br />버락 오바마 정부 때 타결된 핵합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의해 파기된 상태입니다.<br /><br />김영만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미국과 이란이 서로에게 먼저 핵합의 의무를 이행하라며 기싸움을 벌이는 양상입니다.<br /><br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이란에 핵합의를 먼저 이행하라고 촉구했습니다.<br /><br />블링컨 장관은 이란이 핵합의를 이행하면 미국도 복귀할 것이라며, 이는 바이든 대통령도 같은 입장이라고 전했습니다.<br /><br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압박에 가세했습니다.<br /><br /> "우리는 지난 2년간 사라졌던 이란 핵합의 변수와 제약 조건들을 다시 정립하길 원합니다."<br /><br />그러자 이란은 미국이 먼저 핵합의에 복귀하라고 맞받아쳤습니다.<br /><br /> "미국이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탈퇴하고 의무를 저버렸습니다. 협정에 복귀해 약속을 이행하는 것은 미국의 책무입니다."<br /><br />이런 가운데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란의 핵물질 확보에 경고하고 나섰습니다.<br /><br /> "이란이 핵무기에 필요한 핵분열 물질을 확보하는 등 고조되는 핵위기에 대처하는 것이 새 행정부의 중요한 우선순위입니다."<br /><br />이란은 20% 농도의 농축우라늄 17㎏을 생산했다고 밝힌 상태며, 앞으로 농도 수준을 점차 높이고 생산량도 늘려갈 것으로 전해졌습니다.<br /><br />이란은 2015년 오바마 정부 시절 미국과 핵합의를 타결했지만, 2018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파기를 선언했습니다.<br /><br />핵합의에는 이란이 핵 활동을 제한하는 대신 미국은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br /><br />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 (ymkim@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