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노변정담' 되살렸다…실직 주민과 직접 전화통화<br /><br />[앵커]<br /><br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 때부터 전통으로 자리 잡았던 허물없는 담화, 노변정담을 되살렸습니다.<br /><br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실직한 여성과 직접 통화하며 교감하는 영상을 SNS에 올린 것입니다.<br /><br />정선미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전화를 걸자 반갑게 화답하는 여성.<br /><br />코로나19 사태로 직장을 잃은 캘리포니아 주민, 미셸입니다.<br /><br />그녀가 실직의 아픔을 털어놓자 바이든 대통령은 공감과 위로를 표했고, 정부가 도움이 절박한 사람들을 위한 긴급 구호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br /><br /> "일하는 것은 당신의 일부입니다. 제 아버지는 직업이 월급 이상의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당신의 존엄과 존중, 지역사회에서 당신의 위치에 관한 것입니다."<br /><br />바이든 대통령은 또 대규모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고, 미셸은 자신의 부모님도 백신을 맞게 됐다며 기뻐했습니다.<br /><br /> "우리는 앞으로 100일 동안 사람들이 팔에 100만회 백신을 맞도록 할 것입니다."<br /><br /> "제 부모님도 드디어 약속을 잡았습니다. 그들은 오늘 백신을 맞게 됐습니다."<br /><br />조 바이든 대통령이 '국민과의 대화'에 나선 것은 '노변정담' 전통을 되살리기 위해서입니다.<br /><br />노변정담이란 난롯가에서 친지들과 정담을 나누는 듯한 친밀감을 주었던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라디오 담화를 의미합니다.<br /><br />루스벨트 전 대통령은 1933년부터 노변정담을 시작해 국민과 대공황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위기 극복에 나섰고, 이 전통은 후임 대통령들에게 이어졌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 시절 끊어졌습니다.<br /><br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전통을 이어갈 것이며 형식은 다양하게 가져가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정선미입니다.<br /><br />smjung@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