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설 연휴 이후,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의 불법 사찰 의혹 규명 작업에 본격 돌입합니다. <br /> <br />진상규명을 위한 결의안은 물론이고, 사찰 정보 폐기를 위한 법안 제·개정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이 국회의원과 언론, 민간인 등을 불법 사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적극 대응을 예고했던 민주당. <br /> <br />[김태년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지난달 27일) : 방송 장악, 문화계 블랙리스트 등 그동안 드러난 사실이 빙산의 일각일 수도 있다는 것이 참담합니다.] <br /> <br />[신영대 /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지난 9일) : 불법 사찰이 왜, 무슨 목적으로, 누구의 지시로 자행됐는지 낱낱이 밝히고 책임자를 처벌함으로써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br /> <br />설 연휴 직후인 오는 16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국정원 보고를 받는 것을 시작으로 진상 규명 활동에 본격 돌입합니다. <br /> <br />국회 정보위는 국정원으로부터 사찰 시기와 대상 등을 보고받을 예정인데, 민주당은 보고 수준에 맞춰 향후 대응 방안을 결정한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일단 진상규명을 위한 결의안 제출은 물론, 필요할 경우 정보위 의결을 통해 사찰 자료를 요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데, 개인정보가 많이 담겨있는 만큼, 누가 사찰의 대상이 됐는지 등 문건 목록 확보를 우선한다는 방침입니다. <br /> <br />이후 문건의 당사자가 공개 요청으로 확보한 문건 내용을 공유하면, 이를 통해 정보 수집 방법과 활용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br /> <br />이와 더불어, 개인 사찰 정보를 국가가 계속 보관할 수 없는 만큼 진상이 밝혀진 뒤, 어떤 절차를 통해 자료를 폐기할지에 대한 법제화 부분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br /> <br />민주당 정보위 관계자는 사찰 피해자가 언론을 통해 알려진 900여 명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br /> <br />이명박 정부 시절 이뤄진 사찰 의혹에 대해, 국민의힘은 입을 다물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이 쟁점화에 나선 사찰 의혹이 향후 정국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목됩니다. <br /> <br />YTN 한연희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212222220752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