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남는 백신 나눠라" 국제사회 '압박' 직면<br /><br />[앵커]<br /><br />세계 각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백신 접종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요.<br /><br />백신 공급 부족이 현실화한 상황에, 이미 대량 확보에 성공한 미국을 향한 배분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br /><br />이상현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 위협이 커지는 가운데, 세계 각국은 백신 접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br /><br />하지만 백신 공급에 국가 간 격차가 심화하면서 위기 극복에 또 다른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br /><br />세계은행의 최근 분석 결과 고소득 국가의 82%는 백신 접종을 시작했지만 저소득 국가는 3%에 불과했습니다.<br /><br />선진국의 경우 내년 말 접종이 완료되지만, 저소득 84개 국가는 2024년에야 끝나리라는 전망도 나옵니다.<br /><br />문제는 국제사회가 공동 대응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무역이나 여행에 악영향을 주고, 변이 바이러스 발생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br /><br />이에 따라 미국을 향해 백신 잉여분을 다른 국가에 지원하라는 국제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br /><br />현재 미국은 모든 성인에게 2회분 접종할 수 있는 분량의 화이자와 모더나, 얀센 백신을 구매 계약한 상황으로 전해집니다.<br /><br />여기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1억회분 이상 계약해 올해 하반기 이후에는 잉여 백신이 상당하리라는 관측도 나옵니다.<br /><br />최근 중국과 러시아가 어려움을 겪는 국가에 대한 지원에 나선 점도 미국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측면입니다.<br /><br />일단 조 바이든 대통령은 여분의 백신은 전 세계와 나누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br /><br /> "여분의 백신이 있다면, 세계의 다른 이들과 공유할 것입니다. 우리는 이미 코백스(국제백신프로젝트) 그룹으로서 협력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국제사회의 백신 자금 마련에 40억 달러를 지원했습니다."<br /><br />하지만 앞서 멕시코 대통령과 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백신 지원 요청에 "우리 국민이 우선"이라며 거절한 바 있습니다.<br /><br />WHO는 백신 공급의 속도를 높이고자 관련 지식재산권 규정 면제를 추진하고 있지만, 합의에 난항을 겪는 상황입니다.<br /><br />연합뉴스 이상현입니다. (hapyry@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