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남북정상회담 등 환기하며 한·미 압박 <br />美에 첫 경고 "잠 설칠 일 안 만드는 게 좋을 것" <br />정부 "한미 2+2회담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논의"<br /><br /> <br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담화를 통해 그동안 침묵하던 한미연합훈련을 놓고 맹비난했습니다. <br /> <br />우리 당국엔 3년 전과 같은 봄날은 돌아오기 쉽지 않을 거라며 대남기구 폐지를 압박했고, 바이든 정부에 대해서도 처음 경고를 내놓았습니다. <br /> <br />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북한이 침묵을 깨고 또다시 대남 비난에 나섰습니다. <br /> <br />지난 8일 시작된 한미연합훈련이 그 대상입니다. <br /> <br />대남문제 총책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담화를 내고, 한결같은 항의 규탄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가 엄중한 도전장을 내밀었다고 주장했습니다. <br /> <br />특히 온 민족이 지켜보는 앞에서 '따뜻한 3월'이 아니라 '전쟁과 위기의 3월'을 선택했다며 3년 전 같은 봄날은 돌아오기 쉽지 않을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br /> <br />2018년 열린 3차례 남북정상회담과 1차 북미 정상회담을 거론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br /> <br />담화는 이어 대남 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없애고, 금강산 국제관광국 등 교류와 협력 기구를 폐지하는 문제도 검토하고 있다고 위협했습니다. <br /> <br />또 남북 군사분야 합의까지 파기하는 특단의 대책까지 세우고 있다고 겁박했습니다. <br /> <br />그간 말을 아꼈던 미국 바이든 행정부에 대해서도 "4년 동안 편한 잠을 자고 싶다면 시작부터 잠 설칠 일을 만들지 않는 게 좋을 거"라고 처음으로 으름장을 놓았습니다. <br /> <br />우리 정부는 즉각 입장을 내고 대응했습니다. <br /> <br />[부승찬 / 국방부 대변인 : 북한도 한반도에서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 구축을 위해 대화 호응 등 유연한 태도를 보여줘야 한다는 게 국방부 입장입니다.] <br /> <br />[최영삼 / 외교부 대변인 : 우리 정부는 남북대화와 북미대화가 조기에 재개돼 완전한 비핵화와 공고한 평화체계 구축 노력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에 변화 없습니다.] <br /> <br />또 미국 국무, 국방장관 방한 계기에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진전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계속해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br /> <br />김여정 담화가 한미훈련을 정조준하고 있지만 다분히 한미 2+2 회담을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추가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br /> <br />YTN 황혜경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316214622611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