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 당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포격', 우리 정부는 '발사체'라며 의미를 애써 축소했습니다. <br /> <br />반면,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놓고 한미는 UN 대북 제재 결의안 위반이라고 한목소리를 내며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br /> <br />어떤 배경이 있는 걸까요 이승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2019년 5월,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에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은 북미 대화를 의식해 의미를 축소했습니다. <br /> <br />[도널드 트럼프 / 전 미국 대통령 (2019년 5월 19일) : 내 참모들은 (안보리 제재 결의) 위반이라고 생각하지만 내 견해는 다릅니다.] <br /> <br />당시 참모였던 존 볼턴 전 국가안보보좌관은 회고록에 "트럼프는 포격이라고 부르라고 했고, 한국 정부도 발사체라고 부르며 사태를 축소하려고 했다"고 적었습니다. <br /> <br />하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지난달 말 북한이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을 땐 대응이 확연히 달랐습니다. <br /> <br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지난달 25일) : 우선, (북한이) 특정 미사일 발사 시험으로 UN 안보리 결의 1718호를 위반했습니다.] <br /> <br />우리 정부도 발사체 대신 탄도 미사일이라고 적시하고, 국제 규범 위반이란 점을 지적했습니다. <br /> <br />[부승찬 / 국방부 대변인 (지난달 29일) : 단거리 탄도 미사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지금 정밀 분석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유엔 대북 제재 결의안에 보면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모든 발사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br /> <br />이 같은 변화는 트럼프와 달리 바이든 행정부가 이전의 국제 규범을 다시 준수하겠다는 대외 정책 전환을 실행에 옮긴 것으로 분석됩니다. <br /> <br />[박원곤 /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명백한 UN 결의 위반인 북한 탄도 미사일에 대해서 문제 제기를 해야 되는 것이죠. 만약에 그것을 안 한다면 북한 정책뿐만 아니라 바이든 행정부 대외 정책의 전반적인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br /> <br />우리 정부 역시 한미 간 긴밀한 대북 공조에 발을 맞추는 한편 대화재개의 동력을 찾는 모양새입니다. <br /> <br />미사일 발사로 미국의 대북 기조를 떠본 북한이 오는 15일 태양절 전후로 다시 도발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어 조만간 확정될 미국의 새 대북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br /> <br />YTN 이승윤[risungyoon@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4110226157255<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