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피가 목적? 지자체 '맹탕 셀프조사' 되풀이<br /><br />[앵커]<br /><br />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이 불거진 뒤 지자체마다 앞다퉈 자체 조사를 벌였지만, 결과를 놓고는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였다는 비판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요.<br /><br />지자체의 셀프조사 결과가 나오면 경찰이 즉각 강제수사에 나서는 상황도 이어지고 있습니다.<br /><br />홍정원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파란색 압수수색용 상자가 줄이어 세종시청에서 나옵니다.<br /><br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강제수사에 나선 겁니다.<br /><br />전수조사 결과 투기의심 사례는 단 한 건뿐이었다는 세종시청 발표 바로 다음 날의 모습입니다.<br /><br />같은 날 충남경찰청도 세종시청에 들이닥쳤습니다.<br /><br />조사 대상은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진 다른 공무원입니다.<br /><br />LH 일부 직원으로부터 시작된 부동산 투기 의혹 수사는 공직사회 전반으로 확대됐습니다.<br /><br />각 지자체마다 잇따라 자체 조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고, 조사 결과가 나올 때마다 맹탕 조사란 비판이 뒤따랐습니다.<br /><br />지난 15일 대전시에서도 비슷한 일이 반복됐습니다.<br /><br />소속 공무원에 대한 부동산 투기 전수조사 결과 1명을 경찰에 고발했다는 대전시 발표가 나자, 시민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했습니다.<br /><br />공직자 땅 투기에 대해 구속수사 원칙을 밝혀온 경찰은 이번에도 자체 첩보를 활용해 강제수사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br /><br /> "내부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투기행위에 대해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강력하게 대처하겠습니다."<br /><br />경찰은 고소·고발, 수사 의뢰, 신고·제보 등도 꼼꼼히 검토해 혐의점이 있으면 내사 후 입건할 계획입니다.<br /><br />경기도 성남시에선 시의회 의장이 부동산 투기 혐의로 내사 대상에 올라 사퇴하자 의원들이 자진해 경찰 조사를 받겠다는<br />내용의 결의안을 통과시켰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홍정원입니다. (zizou@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