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은 지난해 코로나19 3차 유행을 앞두고 백신을 가능한 많이 확보하라는 야당의 요구에 이미 충분하다고 자신했습니다. <br /> <br />한편으론 K-방역의 성공으로 백신 확보 속도 조절론을 내세우기도 했는데 결국, 이게 부메랑이 되어서 야당의 거센 비판을 받는 상황을 맞았습니다. <br /> <br />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자] <br /> <br />[서영석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해 9월 17일) :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단정해도 틀림이 없는 거죠?] <br /> <br />[박능후 / 당시 보건복지부 장관 (지난해 9월 17일) : 의료적 관점에서는 지금 저희가 비축하고 있거나 하고자 하는 백신의 접종 비율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br /> <br />코로나 19 3차 유행이 예고된 지난해 가을, 정부는 이처럼 백신 확보에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br /> <br />야당에서는 더 큰 유행에 대비해 백신 추가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고 압박했습니다. <br /> <br />[서정숙 / 국민의힘 의원 (지난해 9월 17일) : 보통 독감이 3, 4월까지 유행합니다. 코로나19 상황이 아직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가 또 어떤 파도를 겪을지 모릅니다.] <br /> <br />당시 여당 안에서는 백신의 조기 확보보다는 K-방역의 성공에 방점을 찍는 분위기였습니다. <br /> <br />미국이나 영국처럼 초기 대응에 실패해 확진자가 급증하는 국가와 달라 백신 확보가 시급하지 않다는 게 주된 논리였습니다. <br /> <br />확진자가 크게 늘지 않는 상황에서 백신을 미리 살 경우 비싼 가격으로 지불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까지 공공연하게 나왔습니다. <br /> <br />만약 위급한 상황이 오더라도 국내에서 일부 백신 위탁 생산을 하기 때문에 백신 공급에 문제가 없다는 확신도 있었습니다. <br /> <br />이를 근거로 대국민 홍보에 더욱 열을 올렸습니다. <br /> <br />민주당 의원들은 자신의 지역구에 '4,400만 명 접종 물량 확보'라는 플래카드를 내걸기도 했는데, 지금은 "도대체 그 물량이 어디에 있느냐"는 야당 공격의 빌미가 되고 있습니다. <br /> <br />백신 확보에 비상이 걸리자 기댈 건 미국밖에 없다는 분위기입니다. <br /> <br />그런데 미국이 이미 2억 회 분이 넘는 백신을 접종했는데도 추가접종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우리 정부로선 더욱 곤혹스러운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br /> <br />야당에서는 정부 여당이 K-방역의 정치화에 매몰 돼 백신 구매의 골든 타임을 놓쳤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여영국 / 정의당 대표 (지난 19일) : 문재인 정부는 k-방역 성과에 취...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424052532810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