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은 오늘부터 이틀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격차 문제를 탐사 보도합니다. <br /> <br />YTN이 전국 중·고등학생들의 성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교육 정책의 지표가 되는 중위권이 크게 줄고, 양극화는 깊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 <br />사실상 학교가 문을 닫은 지난 1년 동안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는데, 걱정이 현실이 된 겁니다. <br /> <br />김웅래 기자입니다. <br /> <br />[유은혜 /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지난해 8월) :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와 특수학교는 원격 수업으로 전면 전환합니다.] <br /> <br />[기자] <br />코로나19가 휘몰아친 지난 1년. <br /> <br />학생들은 불 꺼지고 문 닫힌 학교 대신, 디지털 기기 앞에 모였습니다. <br /> <br />가상의 교실. <br /> <br />학생도, 학부모도, 선생님도 모두 혼란스러웠습니다. <br /> <br />[김준석 / 서울 은빛초등학교 6학년 : (온라인 수업) 동영상 못 들은 것 있으면 다시 돌아가서 들어야 하는데 그게 힘들었어요.] <br /> <br />[강승미 / 학부모 : 온라인 수업으로 하다 보니 전체적으로 수업이…. 학력 적인 부분에서 많이 뒤처지는 한 해가 작년이었고요.] <br /> <br />[장선화 / 경기도 시흥중학교 교사 : 갑자기 온라인 수업을 하라는데, 이거 도대체 어떻게 하는 건가…. 어떻게 해야 할지 정말 너무 막막했습니다.] <br /> <br />온라인 수업이 시작된 지난해 1학기. <br /> <br />낯선 기기로 쌍방향 수업을 할 수 있었던 선생님은 10명 가운데 1명도 채 안 됐습니다. <br /> <br />혼란이 남긴 후유증은 얼마나 컸을까? <br /> <br />YTN 기획탐사팀은 지난 두 달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학력 변화를 추적했습니다. <br /> <br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함께 학교 알리미 사이트에 공시된 학업 성취도 분포 비율을 분석했습니다. <br /> <br />지역 특성을 보여주는 중·고등학교 천2백50여 곳의 중2와 고1을 대상으로, <br /> <br />2017년 2학기부터 2020년 1학기까지, 여섯 학기 동안의 수학 성적 변화를 살펴봤습니다. <br /> <br />최상위부터 최하위까지 모두 다섯 등급으로 나뉜 성적 분포 가운데, 교육 정책의 지표가 되는 중위권, B·C·D등급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br /> <br />코로나 전까지는 1년 전보다 B·C·D, 즉, 중위권이 늘어난 학교와 줄어든 학교의 비율이 거의 같았습니다. <br /> <br />그런데, 코로나가 덮친 지난해 1학기 B·C·D 등급이 감소한 학교 수가 갑자기 늘었습니다. <br /> <br />고등학교의 66%, 중학교에서는 무려 76%에서 중위권 감소 현상을 보였습니다. <br /> <br />중위권 감소는 기초학력 보장이라는 공교육의 목적 자체...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04260444350670<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