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앞으로 전기차 회사들이 데이터 수집이나 활용을 엄격히 통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차량 주행 정보는 물론 전기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에 진출한 테슬라를 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지난달 상하이 모터쇼에서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br /> <br />테슬라 차를 몰다 사고를 당한 고객이 브레이크 결함을 주장하며 환불을 요구한 겁니다. <br /> <br />당시 테슬라는 사고 직전까지 브레이크가 작동했 음을 보여주는 주행 데이터를 공개하며 반박했습니다. <br /> <br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차량 주행 데이터를 고객 동의 없이 공개할 수 없는 건 물론, 정보의 수집 자체도 쉽지 않게 될 전망입니다. <br /> <br />중국이 자동차 회사의 데이터 수집 관행에 족쇄를 채우는 법을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br /> <br />새로운 법 초안에는 매번 운전할 때마다 정보수집 동의를 받도록 했습니다. <br /> <br />차량 위치나 차내에서 촬영된 운전자나 동승자의 동영상 등은 고객에게 제공해야 합니다. <br /> <br />[주웨이 / 중국 정법대학 전파법 연구센터 부주임 : 테슬라가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수집한 이런 정보는 공공 데이터도 아니고 그렇다고 테슬라에 소유권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br /> <br />군사구역 주변의 사람과 차량의 흐름은 물론 충전 소의 위치 정보까지도 수집이 엄격히 통제됩니다. <br /> <br />데이터를 외국으로 가져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해집니다. <br /> <br />누가 봐도 중국 시장을 선도하는 테슬라를 겨냥한 것입니다. <br /> <br />테슬라는 지난달 중국 시장 판매량이 30%가량 감소했습니다. <br /> <br />고객의 환불 요구 소동에 공산당까지 테슬라 때리 기에 가세하면서 구매가 위축된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테슬라가 상하이 공장을 증설하려던 계획을 접을 것이라는 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중국이 테슬라의 고삐를 바짝 죄고 나선 데는 최근 자국의 전기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자신감도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베이징에서 YTN 강성웅[swkang@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105132111419344<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