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백신 협력 '기대'...북한 인권 '변수' / YTN

2021-05-20 0 Dailymotion

내일 한미 정상회담, ’백신 협력’에 관심 <br />백신 지원 구체적 방식 막판 조율할 듯 <br />대북 메시지, ’대화 재개’ 구체적 방안 주목<br /><br /> <br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간 백신 협력을 통해 국내 백신 수급문제를 해소하고 바이오 산업 발전 계기를 마련할 것이 기대됩니다. <br /> <br />반면 북핵 문제는 돌파구를 만들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 북한 인권 문제가 어떻게 다뤄질지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br /> <br />김도원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코로나19 유행 속에서 열리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백신 협력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립니다. <br /> <br />해리스 부통령은 백신 지원에서 한국을 우선순위에 두겠다고 했고, 캠벨 백악관 조정관도 두 정상이 지원방법을 논의할 것으로 확신했습니다. <br /> <br />백신 지원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가운데, 구체적인 방식과 물량 등을 두고 막판 조율 이뤄지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김부겸 / 국무총리 : 백신을 가지고 서로 잘 공급하는 것 또 중요 기술들에 대해서 서로 간에 양해하고 한국을 바로 백신 생산의 허브 기지화하는 것 이런 등등이 논의될 것으로 알고 있고요.] <br /> <br />대북정책은 북한에 대해 어떤 수위의 메시지를 내놓을 것인지 관심입니다. <br /> <br />싱가포르 합의 계승이 공동성명에 포함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북한을 대화로 이끌 제재 완화 등 구체적 방안은 쟁점이 될 수 있습니다. <br /> <br />미 의회조사국은 최근 보고서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더욱 적극적인 대북 관여 정책이 미국과 긴장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br /> <br />또, 북한 인권 문제를 거론하면 대화 재개가 어렵다는 문정인 전 대통령특보의 발언에, 미 국무부가 인권은 미국 외교정책의 중심이라고 반박하는 등 대화 재개 방법론이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br /> <br />또 다른 쟁점으로 꼽혔던 미국의 중국 견제 협의체 '쿼드' 참여 문제는 어느 정도 정리된 분위기입니다. <br /> <br />캠벨 조정관은 한국, 아세안 등의 파트너와 협력을 확대하겠다면서도, 현재 쿼드를 확대할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br /> <br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을 최대의 지정학적 도전으로 꼽은 만큼, 쿼드가 아니더라도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 견제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이번 회담에 맞춘 삼성과 현대차, SK 등의 반도체, 배터리 등 40조 규모 투자도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공급망 강화에 발맞춘 결정으로 해석됩니다. <br /> <br />YTN 김도원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5210007428420<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Buy Now on CodeCany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