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정육업체 해킹…"러시아 범죄조직 연루"<br /><br />[앵커]<br /><br />세계 최대 정육업체가 러시아에 기반을 둔 사이버 범죄조직에게 해킹당했습니다.<br /><br />미국 최대 송유관 운영사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지 20여 일 만인데요.<br /><br />글로벌 사이버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br /><br />김영만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미국 최대 송유관 운영사에 이어 세계 최대 정육업체 JBS SA가 해킹을 당했습니다.<br /><br />JBS SA의 미국 자회사가 지난달 30일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다고 미 백악관이 밝혔습니다.<br /><br /> "JBS는 러시아에 기반을 둔 범죄조직으로부터 몸값을 요구받았다고 행정기관에 알려왔습니다. 이 문제와 관련해 백악관은 러시아 정부에 책임 있는 국가는 범죄단체를 숨겨줘선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했습니다."<br /><br />미국은 러시아 정부가 연루된 증거는 없지만, 일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입니다.<br /><br />JBS 해킹으로 호주 내 여러 작업장의 가동이 중단됐고, 캐나다 최대 육류처리 공장도 멈췄다고 외신은 전했습니다.<br /><br />브라질 상파울루에 기반을 둔 JBS SA는 호주와 미국 등 전세계 20개국에 육류 가공 시설을 두고 소고기와 돼지고기, 닭고기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br /><br />이번 해킹은 미국 최대 송유관 운영사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지 20여 일 만입니다.<br /><br />당시 유가가 급등하고 시민들이 사재기를 하는 등 큰 혼란이 빚어졌습니다.<br /><br />회사는 해킹을 당한 지 몇 시간 만에 해커에게 500만 달러 우리돈 56억원의 대가를 지불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br /><br />이처럼 미국 송유관 운영사에 이어 세계 최대 정육업체까지 업종과 국가를 가리지 않고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면서 글로벌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 (ymkim@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