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의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건설 현장에서 청소업체 소속 노동자가 지게차에 치여 숨졌습니다. <br /> <br />시공사 측은 할 수 있는 조치를 충분히 했다는 입장이지만 <br /> <br />노조는 다단계 하청으로 안전 관리에 대한 책임을 분산시킨 시공사가 문제의 핵심이라고 주장합니다. <br /> <br />김철희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대형 트럭에 신호를 주던 작업자가 뒤에서 오던 지게차에 깔립니다. <br /> <br />운전자가 뛰쳐나오고 인근에 있던 다른 노동자가 다급하게 달려옵니다. <br /> <br />[현장 노동자 : 그냥 무전으로 사고가 났으니까, 그때 들었거든요. 위에서 바로 내려와서 다 통제 하고.] <br /> <br />사고가 발생한 건 지난 3일 아침 7시 30분쯤. <br /> <br />평택시 삼성 반도체 공장 건설 현장에서 교통 통제를 하던 47살 A 씨가 20톤짜리 지게차에 치여 숨졌습니다. <br /> <br />협력업체에 소속된 특수계약직이었지만, 일당 10만 원을 받는 사실상 일용직 노동자였습니다. <br /> <br />사고 당시 피해자는 도로에 나와 바퀴를 세척 하는 장비 쪽으로 차량을 유도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지게차 운전자가 이를 발견하지 못해 변을 당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br /> <br />노조 측은 시공사가 하청에 재하청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다단계 하청' 방식으로 노동자들을 채용했고, 안전관리 책임 역시 용역업체에 떠넘긴 게 사고의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br /> <br />[김영일 / 현대위아비정규직 평택지회장 : 그야말로 다단계 하청의 복마전입니다. 일하는 노동자도, 일 시키는 관리자도 각자의 소속이 어디인지 분간하기 어렵습니다.] <br /> <br />하지만 시공사인 삼성물산 측은 책임을 부인했습니다. <br /> <br />지게차가 작업 중이었다면 안전 관리자인 신호수를 배치하는 등 안전 조치가 필요하지만, <br /> <br />당시 도로에서 이동 중이라 신호수가 없어도 되는 상황이었다는 겁니다. <br /> <br />[삼성물산 관계자 : 만약에 그 지게차가 도로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신호수가) 덤프트럭이나 이런 것들을 계속 따라다니면 그 신호수가 오히려 더 위험한 거죠.] <br /> <br />현장 노동자들은 공장 건설 현장 전체가 외부인 출입이 통제되는 작업장인데, 도로와 작업 구역을 구분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비난했습니다. <br /> <br />[한창수 / 민주노총 경기도본부 노동안전부장 : 거길 일반 거리로 보고 교통사고로 처리하면 산업 현장이라고 명명할 필요도 없고 일반인 출입을 시켜야죠.] <br /> <br />경찰은 운전자 부주의로 인한 사고로 보고 교통사고특례법상 치사 혐의로 지게차 운...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0605020704497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