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백신 파트너십 첫 회의…백신생산 역량 최대화<br /><br />[앵커]<br /><br />한미 백신 파트너십 이행을 위한 전문가 그룹 회의에 이어 오늘(10일) 첫 실무 회의가 열렸습니다.<br /><br />이 자리에서 양국은 백신 원부자재 공급과 기술 협력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는데요.<br /><br />백신 생산역량을 극대화하고 개발부터 수출까지 단계별 고도화 전략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br /><br />김장현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백신 파트너십 이행을 위한 첫 화상회의에 마주 앉은 한미 양국.<br /><br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 이후 보름 만입니다.<br /><br />10여 명으로 구성된 각국의 핵심 전문가 그룹은 백신 생산, 원부자재 공급, 연구 개발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br /><br />이를 위한 정기적인 회의 개최를 약속하고, 원활한 회의를 뒷받침할 '글로벌 백신 허브화 추진 TF'도 발족해 첫 실무 회의를 가졌습니다.<br /><br />회의를 주재한 강도태 복지부 2차관은 백신 기업 간담회 등 후속 조치를 점검하고 한국의 생산역량과 미국의 백신 기술, 원부자재 공급 능력을 결합하는 방안을 검토했습니다.<br /><br /> "생산된 백신이 전 세계에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기업-기업, 기업-타 국가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습니다."<br /><br />생산능력 극대화뿐 아니라 개발부터 수출까지 단계별 고도화 전략을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br /><br />특히 내년에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백신의 원부자재 수급 현황을 점검하고 국산화 백신을 선정해 집중 지원한다는 내용입니다.<br /><br />다국적 제약사 유치를 위해 인센티브를 주고, 위탁생산을 통해 기술 역량을 끌어올린다는 실행 계획인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 원액생산까지 검토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br /><br /> "모더나사의 최고사업책임자가 인터뷰를 통해 보도한 바를 알고 있습니다. 모더나사와 협의를 통해 확정되면 다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br /><br />또 하반기 3상 예정인 국산 백신 임상을 위해 참여자 모집과 연구개발비 추가 지원을 검토하고, 치료제 개발 지원도 병행해나갈 계획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