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회의날 미중 외교장관 또 충돌…현안마다 설전<br /><br />[앵커]<br /><br />미중 외교장관이 코로나19 기원조사와 대만 문제 등을 놓고 또 다시 충돌했습니다.<br /><br />미국이 G7 정상회의에서 중국 견제를 위한 동맹 협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의 불편한 관계가 고스란히 드러난 건데요.<br /><br />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br /><br />[기자]<br /><br />지난 3월 알래스카에서 있었던 첫 대면 회담 당시 가시 돋친 설전을 벌였던 미중 외교수장.<br /><br /> "우리는 또한 신장자치구와 홍콩, 대만, 미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포함한 중국의 행위와 함께 우리의 깊은 우려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br /><br /> "누가 중국을 억압하고 질식시키는 접근 방식을 취하든 결국 자신에게 해가 될 것이라는 걸 역사는 보여줄 것입니다."<br /><br />이후 석달 만에 성사된 전화통화에서도 냉랭한 분위기는 바뀌지 않았습니다. 양측은 현안마다 충돌하며 여전한 입장차를 드러냈습니다.<br /><br />우한 연구소가 코로나19 유출지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자체조사를 진행 중인 미국이 중국의 비협조를 지적하며 투명한 조사를 압박하자 중국은 일부 미국인이 터무니없는 얘기를 꾸며낸 것이라고 맞섰습니다.<br /><br />대만 문제에서도 미국이 압박 정책을 중단하고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하자 중국은 세계엔 단 하나의 중국만이 있다며 미국이 이 원칙을 지키고 대만 문제를 신중히 처리하길 바란다고 받아쳤습니다.<br /><br />그러면서 진정한 다자주의는 '스몰 서클'의 이익에 기초한 것이 아닌 유엔 헌장과 국제법의 원칙에 근거한 것이라고 덧붙여 이날부터 시작된 G7 정상회의를 겨냥했습니다.<br /><br />통화 이후 양측이 공개한 대화내용에서도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중국 측은 미국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고 언급했다고 보도했는데 미 국무부 자료에는 없는 내용이었습니다.<br /><br />대신 국무부 자료에는 블링컨 장관이 홍콩에서 민주적 규범의 약화, 신장 위구르족 등에 대한 집단학살과 범죄에 관한 우려를 전달했단 내용이 포함됐습니다.<br /><br />한편 사사건건 충돌하는 가운데서도 양측이 대북정책을 논의했다는 점은 주목되는 부분입니다.<br /><br />국무부는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협력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춰 두 사람이 미국의 포괄적 대북정책 검토에 관해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br /><br />대북 영향력이 큰 중국이 북한의 제재 회피를 방조하고 있다는 인식을 드러내온 미국이 바이든 정부의 새 대북정책 기조를 공유하고 중국의 협력을 요청했을 것으로 보입니다.<br /><br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