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한미,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협의에서 성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김정은 위원장의 최근 발언에 주목하면서 대화 제의에 호응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br /> <br />하지만 추가로 새로운 제안을 내놓지는 않았고, 대북제재도 강조해 북한의 반응에 관심이 쏠립니다. <br /> <br />김도원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미국의 대북정책 검토가 끝난 뒤 처음으로 한미,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가 열렸습니다. <br /> <br />성김 미 대북특별대표는 외교와 대화를 통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했습니다. <br /> <br />그러면서 대화와 대결을 다 준비한다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근 발언에 주목했습니다. <br /> <br />[성 김 /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 김정은 위원장이 대화를 언급한 게, 우리가 곧 긍정적인 답변을 받을 것이라는 뜻이길 바랍니다.] <br /> <br />미국이 언제 어디서나, 조건 없이 만나자고 제안한 만큼 긍정적인 호응을 기대한다는 겁니다. <br /> <br />김 대표는 한미 정상이 합의한 대로 의미 있는 남북 대화와 협력을 지지한다고도 거듭 밝혔습니다. <br /> <br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선순환 구조의 회복을 강조했습니다. <br /> <br />[노규덕 /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 남북 간, 또 북미 간의 기존 합의 등을 바탕으로 북한과의 대화와 관여를 어떻게 추진할지에 대해 중점 협의했습니다.] <br /> <br />하지만 이번 협의에서 대화 재개를 위한 새로운 방안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br /> <br />성김 대표는 오히려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UN 대북제재 이행을 강조했습니다. <br /> <br />특히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제재 준수가 중요하다고 콕 집어 말했는데,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br /> <br />한미일 3국은 북한과의 조속한 대화 재개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의 실질적 진전을 이루기 위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br /> <br />[후나코시 다케히로 /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는 한미일 3국 협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br /> <br />한미일 회동을 마친 김 대표는 이례적으로 통일부와 별도의 대북정책 협의를 열 예정이어서, 남북 교류 재개 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될지 주목됩니다. <br /> <br />YTN 김도원[dohwon@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6212210577134<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