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공급계획도 힘 못써…오르고 또 오르는 서울 집값<br /><br />[앵커]<br /><br />정부가 서울 집값이 꼭지에 달했다며 연일 하락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br /><br />공급이 늘고 연내 기준금리까지 오르면 집값이 떨어질 수 있을 것이란 게 정부 논리인데요.<br /><br />하지만 이 경고가 전혀 힘을 쓰지 못하고 시장은 반대로 움직이고 있습니다.<br /><br />나경렬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서울 집값이 고점에 있다는 정부의 경고는 벌써 세 번이나 나왔습니다.<br /><br /> "서울 지역 주택가격이 장기추세를 상회해 고평가됐을 가능성이 높은…갈수록 과도한 레버리지가 주택가격 하방리스크로 작용할…"<br /><br />한국은행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한 점도 경고의 배경입니다.<br /><br />초저금리가 오름세로 전환하면 대출이 필수인 집값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br /><br />하지만 정부의 희망과 달리, 집값은 오르고 또 오르고 있습니다.<br /><br />서울 아파트값은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0.12%의 상승률이 3주째 이어지고 있습니다.<br /><br />젊은 층의 계속되는 '영끌' 내지 공포 매수가 서울 집값 오름세의 한 원인입니다.<br /><br />5월 서울 아파트를 가장 많이 거래한 연령층은 30대로, 전체 거래 중 비중이 36%를 넘었습니다.<br /><br />이런 움직임을 진정시키려 정부는 주택 공급 속도전 방침을 반복하고 있습니다.<br /><br /> "속도를 내서 도심 내에 국민들이 원하는 다양한 주택이 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br /><br />하지만 2·4 공급대책의 핵심 도심 고밀 개발은 주민 3분의2 동의를 얻은 곳에 한해 2년 뒤에나 공사가 시작되고 실제 입주는 여기서 또 몇 년이 지나야 합니다.<br /><br />그런데 당장 집값은 계속 뛰니 내집 마련에 대한 조급함이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br /><br />이달 인천계양지구부터 시작하는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이 실수요자들의 불안감을 얼마나 달래느냐에 따라 하반기 집값 안정 여부가 결정될 전망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