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시대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대안의 하나로 꼽히는 게 수소에너지입니다. <br /> <br />미래에너지로 각광받은 이런 수소를 직접 만들어 유통시키고, 활용하기 위해 우리 기업들은 물론 정부까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br /> <br />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한번 충전으로 1,000km를 운전자 없이 주행할 수 있는 트레일러입니다. <br /> <br />수소연료전지로 움직이는 자율주행 트레일러를 공개한 현대자동차는 2040년부터 수소에너지를 대중화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br /> <br />[김세훈 / 현대차 연료전지사업부 부사장 : 앞으로 수소 시대가 조금 더 빨리 오고 (수소연료전지) 공정에서 추가되는 비용을 줄이면 저희가 생각하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배터리 시스템하고 거의 동등한 가격으로 우리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br /> <br />SK는 수소 대량 소비에 대비해 18조 원을 투자하며 수소 생산과 유통, 공급 전반을 준비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포스코도 수소 생산에 뛰어드는 동시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뽑아내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김기수 / 포스코 공정엔지니어링 연구소장 : 2030년 (수소환원제철) 상용화를 완료하고 그 이후에 실질적으로 이산화탄소 감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br /> <br />국내 그룹들이 수소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0'으로 만들 수 있는 확실한 해결책으로 꼽히기 때문입니다. <br /> <br />위기이자 기회에 대비하기 위해 15개 회원사가 모여 'H2 비지니스 서밋'이란 이름으로 수소기업협의체를 출범시켰습니다. <br /> <br />협의체에서는 매년 9월에 전 회원사가 참여하는 총회를 열어 수소에너지 관련 이슈를 공유하며 협력 방안을 논의합니다. <br /> <br />대통령 전용차로 수소전기차를 선택한 정부도 그린뉴딜 정책을 앞세워 탄소중립과 수소경제로의 산업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br /> <br />세계 수소 시장은 2050년까지 우리 돈으로 만4천조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미래 에너지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습니다. <br /> <br />YTN 조용성입니다.<br /><br />YTN 조용성 (choys@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10909051220330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