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 "가계부채 증가 부작용이 위험 수준" <br />5대 금융지주 가계대출이 전체 대출의 47% 차지<br /><br /> <br />매달 사상 최대를 경신하고 있는 가계부채 증가 억제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br /> <br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린데 이어 금융위원장이 금융지주 회장들과 만나 가계부채 관리가 최대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중 은행 가계대출이 6조2천억 원 증가해 천46조3천억 원에 달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br /> <br />증가율이 다소 둔화됐지만 여전히 우리 경제의 최고 현안으로 떠오른 가계부채 대책을 위해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만났습니다. <br /> <br />고 위원장은 실물경제 성장세를 넘는 부채의 증가는 경제의 위기발생 확률을 높이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최근 가계부채 증가 부작용이 위험 수준에 달했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이어 기준금리 인상과 미국의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 등 향후 불확실성까지 고려하면 가계부채 관리 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이자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습니다. <br /> <br />[고승범 / 금융위원장 : 가계부채 관리 여건이 쉽지만은 않지만 최선의 노력을 다할 생각입니다.] <br /> <br />특히 5대 금융지주의 가계대출은 총액의 약 47%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큰 만큼 가계부채 관리에 전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br /> <br />이에 대해 금융지주 회장들은 올해 5-6%로 잡은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 내에서 가계부채가 관리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고 위원장은 시장 친화적 금융 정책을 펼치겠다고 하면서 금리와 수수료, 배당 등에 있어 금융회사의 자율적 결정을 최대한 존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r /> <br />가계부채 급증과 아파트값 급등이라는 난제에 직면한 금융 당국이 대선 정국을 앞두고 얼마나 효율적인 정책을 집행해 나갈지 주목됩니다. <br /> <br />YTN 박병한입니다.<br /><br />YTN 박병한 (bhpark@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10910221314964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