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고위당국자 "미중, 연내 화상 정상회담 합의"<br /><br />[앵커]<br /><br />미국과 중국이 연내 화상 정상회의 개최에 합의했습니다.<br /><br />이를 논의하기 위해 양국 안보 보좌관이 스위스에서 회담을 가졌는데요.<br /><br />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br /><br />이경희 특파원.<br /><br />[기자]<br /><br />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연내에 화상으로 양자 정상회담을 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했습니다.<br /><br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고위당국자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외교회담 후 언론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는데요.<br /><br />두 정상은 그간 두 차례 전화통화만 했기 때문에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올 1월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미중 정상의 첫 만남이 됩니다.<br /><br />인권, 대만, 남중국해, 무역 등 미중 간 전방위 충돌이 이어지는 가운데 직접 관계 개선의 계기로 작용할지 주목됩니다.<br /><br />한편 정상회담 준비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만난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 여러 협력 관심사가 있는 분야에서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는데요.<br /><br />설리번 보좌관은 중국 측에 인권, 대만 등 우려를 제기했다면서도 고위급 차원의 소통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br /><br />[앵커]<br /><br />이번에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는 미국 채무불이행 우려에 관한 소식도 짚어보겠습니다.<br /><br />관련 법안 처리를 놓고 여야가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는데, 마감시한이 이제 열흘 정도밖에 남지 않았죠?<br /><br />[기자]<br /><br />그렇습니다.<br /><br />미국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제시한 마감시한은 이달 18일입니다.<br /><br />이때까지 국가 부채 한도를 상향하지 않으면 정부가 각종 청구 비용을 지불하지 못하는 국가부도 사태가 올 수 있다는 건데요.<br /><br />이제 열흘 정도 남았습니다.<br /><br />미국은 국가가 빌릴 수 있는 부채 상한선을 의회에서 법률로 정하고 필요시 역시 의회가 이를 조정하게 돼 있는데요.<br /><br />이에 따라 지금껏 80차차례 가까이 부채 한도를 조정했습니다.<br /><br />가장 최근에는 2019년 올해 7월까지 연방 부채 상한선 설정을 유보하는 합의를 통해 연방정부가 국채를 발행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미 기간이 끝나 추가 연장 등 조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br /><br />이에 따라 여당인 민주당은 내년 12월까지 부채 한도를 유예하는 법안을 추진했고 하원에서는 통과 됐지만 공화당의 반대로 상원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는데요.<br /><br />공화당은 조 바이든 대통령의 3조5천억달러 사회보장 예산을 줄이는 협상 카드로 부채 한도 상한 처리를 활용하고자 하고 있습니다.<br /><br />바이든 대통령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속에 불확실성과 우려를 제거해야 한다며 정치적 활용을 중단하라고 거듭 촉구했습니다.<br /><br /> "그들이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부채에 대한 채무 불이행으로 인해 시장이 위축되고 퇴직 저축과 일자리를 잃을 위험을 스스로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것입니다. 공화당은 국가 경제를 두고 러시안 룰렛 게임을 해선 안됩니다."<br /><br />상원 문턱을 넘으려면 100명 가운데 60명이 찬성표를 던져야 하는데요.<br /><br />표결에 부쳐지면 공화당에서도 일부 찬성표가 나올 수 있는 상황이지만 공화당 지도부가 필리버스터 규정을 활용해 표결 자체를 막고 있습니다.<br /><br />이런 가운데 공화당이 새로운 협상안을 민주당에 제시하면서 타결 가능성을 높인 것으로 알려져 민주당의 반응이 주목되고 있습니다.<br /><br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