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준성, 영장 심사 때 고발장 ’반송’ 가능성 주장 <br />"반환 차원에서 보낸 게 김웅까지 흘러갔을 수도" <br />최초 입력·첨부한 사람은 손준성…경위 밝혀야 <br />고발장 작성자·중간 전달자 여전히 미궁<br /><br /> <br />'고발 사주'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핵심인물 손준성 검사를 다음 주초인, 다음 달 2일 불러 조사합니다. <br /> <br />구속영장 심사 단계에서 드러난 손 검사의 주장을 공수처가 어떤 증거와 논리로 반박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br /> <br />나혜인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오랜 침묵을 깬 고발 사주 의혹의 핵심 피의자, 손준성 검사가 구속영장 심사에서 새롭게 꺼낸 카드는 '반송'이었습니다. <br /> <br />김웅 의원에게 메시지를 보낸 기억이 없다는 기본적인 주장을 유지하면서, 당시 자신에겐 SNS로 고발장을 보내오는 사람이 많았고 그럴 때면 대부분 파일을 다시 첨부해 그대로 돌려보냈는데 이번 사건도 그런 경우일 수 있다는 겁니다. <br /> <br />텔레그램 속 '손준성 보냄'이 조작된 게 아니라 해도, 누군가에게 받은 고발장을 반환한 거지 '사주'와는 무관하다는 주장입니다. <br /> <br />하지만 손 검사 주장대로라도 물음표는 여전합니다. <br /> <br />파일을 내려받아 다시 첨부한 게 아니라 텔레그램으로 받은 단순한 메시지를 그대로 상대에게 전달했다면 처음 보낸 사람 이름이 남지 '손준성 보냄'이 남지는 않습니다. <br /> <br />물론 문자메시지나 이메일, 다른 SNS로 받은 걸 텔레그램에 복사해 돌려보냈다고 해명할 수 있긴 하지만, 민원성으로 받은 고발장과 관련 메시지를 왜 굳이 텔레그램으로 다시 옮겼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br /> <br />'손준성 보냄' 속 메시지엔 고발장 사진 파일뿐 아니라 기사 링크나 간단한 글자도 있는데, 반환 차원이라도 어쨌든 손 검사가 직접 텔레그램에 입력하거나 첨부해 보낸 건 분명하기 때문입니다. <br /> <br />물론 그렇다고 공수처의 의심이 곧바로 설득력을 얻는 건 아닙니다. <br /> <br />고발장 최초 작성자가 누군지 여전히 미궁인 데다 '손준성 보냄'과 김웅 의원 텔레그램 사이 여러 전달자가 있었을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br /> <br />채널A 사건 제보자 지 모 씨의 실명 판결문을 검색했다는 부하 검사가 손 검사의 지시를 받았다는 명확한 증거도 없고,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을 비롯한 윗선 개입 여부는 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br /> <br />공수처는 영장 기각과 상관없이 손 검사 조사를 미루지 않고 예정대로 다음 달 2일 불러 조사할 예정입니다.... (중략)<br /><br />YTN 나혜인 (nahi8@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10292204218964<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