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초읽기…미국 첫 제재<br /><br />[앵커]<br /><br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내 친러시아 세력이 세운 두 공화국의 독립을 승인한 지 몇 시간 만에 평화유지군 파병을 지시했습니다.<br /><br />서방은 강력하게 반발하며 제재에 착수한 상황인데요.<br /><br />자세한 소식은 국제 담당 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br /><br />이봉석 기자,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파병을 지시했다고요.<br /><br />[기자]<br /><br />네, 그렇습니다.<br /><br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 반군의 교전이 이어져온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 평화유지 명목으로 군 투입을 지시했습니다.<br /><br />앞서 친러 반군이 장악한 돈바스의 도네츠크인민공화국, 루간스크인민공화국의 독립을 승인한 지 몇 시간 만이었습니다.<br /><br />실제로 군 부대가 도네츠크 거리에서 이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러시아 언론을 통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br /><br />돈바스 내 친러 분리주의자들은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병합하자 자신들도 독립하겠다며 지방정부 청사들을 점령한 뒤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 수립을 선언했습니다.<br /><br />하지만 국제사회는 두 공화국을 합법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br /><br />푸틴 대통령은 이 두 곳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대통령령과 함께 이 두 개 공화국 지도자와 우호와 협력, 원조에 관한 조약에도 서명했습니다.<br /><br />미국 등 서방국가들은 푸틴 대통령의 이런 일련의 조치를 우크라이나 침공 수순으로 보고 있습니다.<br /><br />실제로 미국 관리들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수도 키예프를 떠나는 게 좋을지 의논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br /><br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뭘 하든 국경선은 바뀌지 않는다"며 러시아를 규탄하는 한편 서방의 지원을 기대했습니다.<br /><br />[앵커]<br /><br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그동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막기 위해 백방으로 외교전을 펼쳐왔는데요.<br /><br />미국은 우크라이나 사태 후 첫 제재안을 내놨죠.<br /><br />[기자]<br /><br />미국은 러시아가 독립을 승인하자 이를 강력히 규탄했습니다.<br /><br />특히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내전 관련 평화협정인 민스크 협정을 갈기갈기 찢어버렸다고 비난했습니다.<br /><br />미국은 우크라이나 사태 후 첫 제재 조치도 내렸습니다.<br /><br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 지역에 대한 미국인의 신규 투자와 무역, 금융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한 겁니다.<br /><br />이와 별도로 영국과 프랑스는 금융과 무역 등의 분야에서 신속히 제재를 가하기로 합의했는데요.<br /><br />미국은 영국 등 동맹국들과 함께 조만간 추가 대러 제재도 발표할 예정입니다.<br /><br />유럽연합도 러시아를 겨냥한 집단 제재 논의에 착수했습니다.<br /><br />[앵커]<br /><br />그렇다면 이제 남은 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뿐인가요? 외교적 해결 가능성은 전혀 없는 건가요?<br /><br />[기자]<br /><br />러시아는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병합했는데요.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도 비슷한 수순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br /><br />8년 전에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정권이 친서방으로 기울자 병력을 투입해 크림반도 주요 시설을 점령했습니다.<br /><br />이후 친러 크림공화국 자치정부가 독립을 결의하자 러시아는 군을 주둔시킵니다.<br /><br />곧이어 크림공화국 의회의 러시아 합병 결의와 푸틴 대통령의 합병조약 서명 등이 뒤따랐습니다.<br /><br />이번 돈바스 상황과 관련해 외교적 해결 가능성이 전혀 없는 건 아닙니다.<br /><br />미국은 목요일 24일로 예정된 미러 외교장관 회담이 아직 취소되지 않았다고 밝혔고 러시아도 여전히 준비돼 있다는 입장입니다.<br /><br />미러 외교장관 회담이 열린다면 미러 정상회담 논의가 가장 비중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br /><br />앞서 미러 정상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중재로 양자 회담을 여는 것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br /><br />다만, 미국의 전제조건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는데, 러시아의 이번 평화유지군이 사실상 침공이라는 주장도 있어서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입니다.<br /><br />지금까지 글로컬뉴스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br /><br />#우크라이나_사태 #미러관계 #푸틴<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