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재 폭탄에 러, 국가부도 직면…국민은 고난의 길<br /><br />[앵커]<br /><br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고강도 제재로 러시아의 국가 경제가 흔들리고 있습니다.<br /><br />국가부도 사태가 임박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br /><br />루블화 폭락에 물가 급등까지, 러시아 국민도 고난의 길로 접어들었습니다.<br />김지수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서방의 강도 높은 제제로 러시아 국가 경제가 흔들리면서 1998년 이후 24년만에 '국가부도', 디폴트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br /><br />무디스와 피치 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들은 일제히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부도 직전'으로 추가 강등했습니다.<br /><br />피치는 러시아의 장기신용등급을 'B'에서 'C'로 6단계 강등한다면서 C 등급은 국가부도가 임박한 것이라고 밝혔고, 앞서 무디스 역시 부도를 뜻하는 'C' 등급의 직전 단계로 매겼습니다.<br /><br />미국 모건스탠리는 러시아가 미국의 제재로 2019년부터 채무를 상환하지 못하고 있는 베네수엘라와 비슷한 형태의 부도를 맞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르면 다음 달 15일 부도가 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br /><br />앞서 외신은 오는 16일 1억700만달러, 약 1,288억 원 규모의 국채 이자 지급을 앞둔 러시아가 국가부도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br /><br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16일 부도 위기를 넘긴다고 해도 서방의 제재에 맞서기 위해 일부러 부채를 상환하지 않고 고의로 부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왔습니다.<br /><br />국가부도 임박설 속에 지난 달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미 달러 당 75루블이었던 루블화 가치는 역대 최저 수준인 120루블까지 떨어졌습니다.<br /><br /> "지금 당장은 (당국이) 시민들 수요를 제한하는 것을 포함해 외환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무엇이든 할 용의가 있을 겁니다. 다만 수업업체들에게 화폐를 공급하는 것만으로도 러시아에는 화폐가 부족합니다."<br /><br />러시아 증권거래소는 지난 달 28일부터 거래가 중지된 상태입니다.<br /><br />아직 사재기는 없지만 물가는 뛰고, 서방 기업들의 철수까지.<br /><br />러시아 국민들의 삶이 갈수록 고단해지고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 김지수입니다.<br /><br />#디폴트 #러시아 #국가부도<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