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블화 결제 강행 첫날…러 유럽 가스공급 안끊겨<br /><br />[앵커]<br /><br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경제 제재가 이어지자 유럽국가들에게 자국의 천연가스를 루블화로 결제하라며 맞서고 있습니다.<br /><br />결제 강행 첫날 유럽행 가스공급은 끊기지 않았습니다.<br /><br />러시아의 자원 무기화 전략이 통할지 주목됩니다.<br /><br />김효섭 PD입니다.<br /><br />[리포터]<br /><br />러시아산 천연가스 구매 대금을 루블화로 결제하라고 결정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br /><br /> "러시아 천연가스를 구매하려면 루블화 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4월1일부터 적용됩니다."<br /><br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계약이 중단된다며 유럽을 비롯한 서방의 잇단 제재에 대해 대응 방침을 내세웠습니다.<br /><br />하지만 루블화 결제 강행 첫날에도 발트해를 건너는 노르트스트림1과 우크라이나와 슬로바키아를 거쳐 오는 2개 파이프라인은 정상적으로 가스를 공급 중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br /><br />러시아 역시 대금 결제가 당장 루블화로 이뤄지지 않는다고 가스공급을 중단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br /><br />크렘린궁 대변인은 현재 공급되고 있는 가스 대금 지급은 4월 하반기나 5월 초에 이뤄져야 한다면서 루블화 결제령은첫날 상황이 바뀌면 해제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br /><br />결국 루블화를 보호해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푸틴의 궁여지책으로 해석됩니다.<br /><br />원유와 천연가스 수출은 러시아 정부 재정의 36%를 차지합니다.<br /><br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자원 무기화 전략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br /><br />영국 옥스퍼드대의 에너지학 연구원은 "루블화 결제가 거창하게 들리지만, 찻잔 속 태풍이 됐다"며 "가스프롬방크를 가스 대금의 주요 수령자로 만들어 이 은행을 제재에서 보호하려고 방패를 세운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br /><br />미 재무부도 최근 루블화 가치 회복세는 실제 상황이 아닌 시장 개입에 따른 일종의 신기루로 러시아는 폐쇄 경제 국가가 될 지경에 놓였다고 평가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br /><br />#루블화 #천연가스공급 #푸틴<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