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서울 강남 아파트 건설 현장 분위기는?..."시멘트 공급 일부 차질" / YTN

2022-04-04 62 Dailymotion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시멘트 원료 중 하나인 유연탄 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br /> <br />'시멘트 대란'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곳도 있는데요. <br /> <br />실제 건설 현장 상황은 어떤지 살펴보겠습니다. <br /> <br />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최기성 기자! <br /> <br />[기자] <br />네, 서울 강남 아파트 건설 현장입니다. <br /> <br /> <br />최 기자 뒤로 공사가 진행 중인데, 현장 분위기 어떻습니까? <br /> <br />[기자] <br />네, 이곳에선 6천7백여 세대 규모 아파트 건설이 진행 중입니다. <br /> <br />제가 서 있는 곳은 14층인데요. <br /> <br />뒤로 골조 공사 작업이 한창인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br /> <br />골조 공사, 말 그대로 건물 뼈대를 만드는 일입니다. <br /> <br />골조 공사를 위해서는 시멘트와 자갈 등을 섞어 만든 콘크리트를 사용하는데 이곳에 하루 평균 레미콘 차량 100대에서 200대가 들어온다고 합니다. <br /> <br />보통 하루 전에 주문해도 다음 날 문제없이 받아 볼 수 있었는데, 최근에는 수급이 쉽지 않다 보니 두 달 후 사용할 수량까지 예약을 걸어놓을 정도입니다. <br /> <br />현장 관계자 얘기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br /> <br />[김주일 / 시공사 건축부장 : 계획을 보수적으로 짤 수밖에 없고, 저희 계획보다 90% 정도만 공사를 진행하는 수준입니다. 진행하지 못하는 10% 정도는 공사 지연이 되는 리스크(위험)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br /> <br />또 업체에서 갑자기 수량을 맞추기 어렵다고 통보해 공급에 차질이 생기는 일도 잦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br /> <br />제가 나와 있는 곳은 10대 건설사 중 한 곳이 맡아서 하는 현장이라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을 수도 있지만, 중소건설사가 공사 중인 현장은 상황이 더 빠르게 나빠질 수 있습니다. <br /> <br />관계자들에게 직접 물어봤는데요. <br /> <br />건설업계에선 이대로라면 골조 공사가 많이 이뤄지는 6월부터 상황이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br /> <br />시멘트업계는 5월 말까지 쓸 유연탄 물량은 확보했지만, 그 뒤에는 유연탄 가격이 비싸져서 손해를 보면서 시멘트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br /> <br />계획대로 시멘트가 공급되지 않으면 준공 시점이 늦어지는 결과로 돌아옵니다. <br /> <br />그렇게 되면 시공사는 공기가 길어진 만큼 지체보상금을 내야 하고, 입주 대기자는 예정했던 이사 시점을 맞출 수 없게 됩니다. <br /> <br />정부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는 평가를 받았던 '요소수 부족 사태'를 반복할지, 아니면 성공한 대응 사례로 남을지 정부 대응 ... (중략)<br /><br />YTN 최기성 (choiks7@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404135218872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Buy Now on CodeCany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