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남 공세 수위 높이는 북…핵 위협 실행옮기나<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북한이 대남 비난 수위를 한껏 끌어올리고 있습니다.<br /><br />다음 도발을 위한 명분 쌓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br /><br />특히 핵무기 사용을 직접 언급한 점에 한미 당국은 주목하고 있습니다.<br /><br />임혜준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 "핵보유국을 상대로 선제 타격을 운운하며 저들에게도 결코 이롭지 않을 망솔한 객기를 부린 것이다."<br /><br />서욱 국방부장관의 '사전 원점 정밀 타격' 발언에 노골적인 대남 비난 담화를 낸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부장. 이틀 뒤 발언은 더 거침없었습니다.<br /><br /> "전쟁 초기에 주도권을 장악하고 타방의 전쟁의지를 소각하며 장기전을 막고 자기의 군사력을 보존하기 위해 핵전투무력이 동원되게 된다. 남조선군은 괴멸, 전멸에 가까운 참담한 운명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br /><br />남한이 군사행동에 나서거나 자신들에 대한 선제타격이 이뤄질 경우 핵 무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공개적으로 밝힌 겁니다.<br /><br />김일성 생일인 태양절을 앞두고 북한의 무력 행동이 예고되는 시점인 만큼 한미 당국은 긴장 속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br /><br />예상되는 도발에 대해 최근 성김 미 대북특별대표는 "핵실험이 될 수 있다"며 북한이 실제 핵 위협을 행동에 옮길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했습니다.<br /><br />북한은 4년 전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폭파했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복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br /><br />지난 2017년 9월, 6차 핵실험이 시행된 장소입니다.<br /><br />현재 갱도 굴착과 건물 건설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복구 속도에 따라 북한의 핵 위협도 가시화될 것으로 보입니다.<br /><br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LBM 도발에 나서거나 최근 발사에 실패한 화성-17형 재발사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는데, 어느 쪽이든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감은 걷잡을 수 없이 고조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br /><br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junelim@yna.co.kr)<br /><br />#핵무기 #김여정 #선제타격<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