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정상 "북한 강력 규탄"…대응 수위 높이는 미국<br /><br />[앵커]<br /><br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바로 다음 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을 강력 규탄했습니다.<br /><br />그만큼 이번 도발을 심각하게 판단하고 있단 뜻으로 보이는데요. 워싱턴 연결해서 미국 반응 알아보겠습니다.<br /><br />이경희 특파원.<br /><br />[기자]<br /><br />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4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이번 미사일 발사가 일본 국민에게 위험이 되는 행위인 동시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강조했습니다.<br /><br />백악관은 보도자료를 내고 "북한이 불법적인 탄도미사일 및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을 지탱할 능력을 제한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계속하기로 결의했다"면서 "국제사회와 계속 긴밀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br /><br /> "일본 상공으로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의 위험하고 무모한 결정을 강력히 규탄합니다. 우리는 한국 및 국제사회와 함께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대응을 계속 조율해 나갈 것입니다."<br /><br />백악관은 이번 통화가 일본의 방위에 대한 철통같은 약속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는데요.<br /><br />북한의 도발이 있은 지 채 하루도 지나지 않아 신속하게 전화통화를 한 건 그만큼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방증으로 보입니다.<br /><br />[앵커]<br /><br />최근 단거리 미사일 발사 때와는 미국의 대응 수위가 확연히 달라진 것으로 보이는데요.<br /><br />백악관은 이번 미사일을 장거리 미사일이라고 표현하고 있죠?<br /><br />[기자]<br /><br />네. 한국 군이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을 중거리탄도미사일, IRBM으로 규정한 것과 달리 백악관은 오늘 보도자료에서 사실상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을 뜻하는 '장거리 탄도미사일'이라고 표현했는데요.<br /><br />미국의 예상대로 북한이 도발 수위를 높이자 미국 역시 대응 수위를 높이는 모습입니다.<br /><br />북한의 최근 단거리 미사일 발사가 한미 연합훈련이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비무장지대 방문 등에 대한 반발성이었다면 이번 행동은 전략 도발 성격으로, 성격 자체가 바뀌었다고 보고 있는 건데요.<br /><br />어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3시간여 만에 나온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성명에서도 "무모하고 위험한 결정"이라며 전과 다른 강도높은 비판을 쏟아냈는데요.<br /><br />또 외교·안보라인을 모두 가동해 한국, 일본과 북한과 대응 방안을 협의했고 한국, 일본과 각각 대응 연합훈련에도 나섰습니다.<br /><br />이 역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때와는 확연히 다른 반응입니다.<br /><br />[앵커]<br /><br />이로써 북한이 조만간 핵 실험까지 감행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한층 더 실리고 있습니다.<br /><br />미국 입장에서는 러시아의 핵 위협 속에 북한까지 핵 실험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인데요?<br /><br />[기자]<br /><br />그렇습니다.<br /><br />앞서 미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한이 저강도 도발을 이어가다가 이달 중순 중국의 당대회 이후부터 도발 수위를 높여 내달 8일 미국의 중간선거 전까지 도발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br /><br />이 같은 전망에 한층 무게가 실리게 됐습니다. 북한이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거쳐 연내에 핵실험까지 감행할 수 있단 관측이 나오는데요.<br /><br />만약 이렇게 되면 미국은 러시아의 핵위협과 북한의 핵위협을 동시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br /><br />이에 따라 미국은 북한이 더 이상 도발 강도를 높이지 못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이는데요.<br /><br />한반도 및 일본에 전략 자산을 전개해 북한에 강도높은 경고 메시지를 보낼 가능성이 거론됩니다.<br /><br />앞서 미국은 북한이 반복적으로 도발하자 2017년 8월 이른바 '죽음의 백조'로 불리는 장거리 폭격기 B-1B '랜서'와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B를 처음으로 동시에 한반도 상공에 전개한 바 있습니다.<br /><br />이와 함께 안보리 차원의 대응도 추진할 것으로 보이지만 우크라이나 사태로 서방과 러시아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협조 가능성이 커보이지 않습니다.<br /><br />미국은 이번 미사일 도발을 논의하기 위해 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회의 소집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역시 중국과 러시아 반대로 추가 제재 등 안보리 차원의 결의가 처리되긴 어렵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br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br /><br />#북한_미사일 #북한_도발 #IRBM #ICBM<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