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 불명의 싼 사과를 지역 특산물인 '청송 사과'로 속여 비싸게 팔아온 농업회사 대표 등이 적발됐습니다. <br /> <br />상자를 바꾸는 단순한 수법이었지만, 유명 도매시장과 홈쇼핑을 통해 2만5천 상자, 17억 원어치나 시중에 유통됐습니다. <br /> <br />허성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경북 안동의 한 창고에 '청송 사과'라고 적힌 종이상자가 여기저기 쌓여 있습니다. <br /> <br />냉장실 안에는 원산지 표시가 없는 사과가 플라스틱 박스에 통째로 담겨있습니다. <br /> <br />업자는 청송에서 구입한 사과라고 발뺌하지만, 결국 매입자료를 내놓지 못했습니다. <br /> <br />[농업회사법인 대표 : 청송사과를 지금 가져오는 게 아니라 가을에 가지고 오니까 여기서 선별작업을 해서 창고에 넣어놨다가 물건(사과)을 빼는 거니까 저 상자만 보시면 안 됩니다.] <br /> <br />일반 사과를 지리적 표시 등록으로 관리하는 '청송 사과'인 것처럼 꾸며 팔아온 농업회사 대표 A 씨 등 4명이 적발됐습니다. <br /> <br />수법은 단순했습니다. <br /> <br />[김경환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 팀장 : 농협 농산물 공판장 중도매인이자 안동시 소재 농업회사법인을 운영하는 자로 불법적으로 '산소 카페 청송' 사과 박스 2만5천 개를 제작한 후에 원산지 불명의 사과를 청송 사과로 포장하여….] <br /> <br />지난해 1월부터 8월까지 이들이 유통한 가짜 청송사과는 350여 톤, 17억 원에 이릅니다. <br /> <br />전국 유명 도매시장과 TV홈쇼핑,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거래되다 보니 모두 감쪽같이 속았습니다. <br /> <br />원산지 표시법을 위반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br /> <br />농산물품질관리원은 지역 특산물은 지자체에 등록된 판매처에서 사고, 온라인으로 살 때는 원산지와 출고지가 같은지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YTN 허성준입니다. <br /> <br /> <br /><br /><br />YTN 허성준 (hsjk23@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204141721440333<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