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고자가 없는 사망자가 10년 사이에 3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br /> <br />20여 년 전 외환위기로 인한 가족해체와 사회적 고립의 영향이 뒤늦게 나타나는 거라는 분석이 나오는데요. <br /> <br />이번 코로나 위기로 인한 영향도 수십 년 뒤에 나타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br /> <br />김혜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제단 위 영정 사진이 하얗게 비어 있습니다. <br /> <br />다만 사과와 배, 곶감만이 정갈하게 놓였습니다. <br /> <br />무연고 사망자를 위한 공영 장례입니다. <br /> <br />고인에 대한 소개는 아주 간단할 수밖에 없습니다. <br /> <br />"서울시 구로구에서 사시다 지난 2022년 4월 22일 병원에서 돌아가셨습니다." <br /> <br />무연고 사망자는 연고가 없거나, 연고자를 알 수 없거나, 연고자가 시신 인수를 포기한 사망자를 일컫습니다. <br /> <br />2012년 1,025명이었던 무연고 사망자는 지난해 3,48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br /> <br />10년 사이에 무려 3배 넘게 급증한 겁니다. <br /> <br />무연고 사망자 10명 가운데 7명 정도는 연고자가 시신 인수를 거부하거나 포기한 경우입니다. <br /> <br />공영장례 조례가 없는 지자체에선 대부분 장례 절차도 없이 바로 화장됩니다. <br /> <br />[김민석 / 나눔과 나눔 " 연고자분들이 시신 위임서를 작성하시게 되는 이유는 경제적인 어려움이죠. 장례가 자본의 유무에 따라서 누군가는 할 수 있고, 누군가는 할 수 없다는 건 인권의 영역에서 봤을 때 개인의 존엄이 훼손된다고 (봅니다.)] <br /> <br />최근 10년 새 무연고 사망자가 급증한 건 지난 1997년 외환 위기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br /> <br />당시 실직에 이은 가정 해체를 겪은 세대가 수십 년 뒤에 세상을 등지면서 무연고 사망자 수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br /> <br />이렇다면 코로나 위기 영향도 수십 년 뒤에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br /> <br />경제적 어려움에 인간관계 단절까지 더해지면서 고독사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br /> <br />[송인주 / 서울시 복지재단 선임연구원 : (코로나19는) 일자리 불안전성을 만드는 중요한 사건이지만, 고립돼서 사는 삶의 방식 자체가 더 확대된 것이 (우려됩니다.) 관계망보단 혼자서 문제 해결하는 방식으로 전환돼 고독사 상황이 더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br /> <br />수십 년 뒤 일이라고 미뤄둘 게 아니라 지금부터 대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br /> <br />[용혜인 / 기본소득당 의원 : (가족 중심 제도에서 벗어나) 유언을 통해서 가족이 아니라 가까운 지인이 장례... (중략)<br /><br />YTN 김혜린 (khr0809@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505222642545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