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사상 최악적자' 한전 특단 조치...전력구매가격 상한제 도입 / YTN

2022-05-24 139 Dailymotion

올해 1분기에만 무려 8조 원에 가까운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한 한국전력공사가 특단의 조치를 잇따라 내놓고 있습니다. <br /> <br />발전사에서 전력을 사 올 때 적용하는 전력도매가격에 상한을 두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br /> <br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상우 기자! <br /> <br />[기자] <br />네, 경제부입니다. <br /> <br /> <br />적자의 늪에 허덕이고 있는 한전이 잇따라 특단의 조치를 내놓고 있는데 이번에 추진하는 전력도매가격 상한제, 어떤 건가요? <br /> <br />[기자] <br />코스피에 상장된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가 발전사에서 전력을 사 올 때 적용하는 전력도매가격, 이른바 SMP라고 하는데요. <br /> <br />즉 도매가인 SMP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경우 '한시적'으로 가격 상한을 두는 것입니다. <br /> <br />예를 들면 지난달 SMP는 ㎾h(킬로와트시)당 202.11원을 기록해 처음으로 200원 선을 뚫고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는데요. <br /> <br />이는 지난해 같은 달의 76.35원보다 2.6배나 급등한 것인데, 이런 경우 이 제도를 적용하게 됩니다. <br /> <br />한전의 적자 원인은 복합적인데요, 탈원전 정책에다가 코로나19 사태, 여기에다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까지 벌어져 발전 원료인 국제 연료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입니다. <br /> <br />이런 긴급 사태에 한시적으로 적용하겠다는 것이 정부 판단입니다. <br /> <br />물가 상승과 직결되는 전기 요금 인상에 부담을 느끼는 산업통상자원부는 일단 전력시장에 이렇게 상한 가격을 하도록 하는 '긴급정산상한가격' 제도를 신설하는 내용의 '전력거래가격 상한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했습니다. <br /> <br />20일간의 행정예고를 거쳐 이 제도는 오는 7월부터 시행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br /> <br />한전이 올해 1분기에만 약 8조 원의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해 구매비용 부담을 완화하려는 취지로 분석됩니다. <br /> <br />앞서 한전은 지난 18일 사상 최악의 적자와 관련해 해외 사업 구조조정 등 가능한 모든 자구 방안을 총동원해 약 6조 원의 재무 개선을 이뤄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는데요. <br /> <br />적자 해소책으로 가장 쉬운 방법은 판매대금인 전기요금을 인상해야 하지만 물가 상승 압박으로 인해 정부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이런 특단의 조치를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이 제도가 시행되면 상대적으로 전력을 파는 곳인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와 민간발전사의 이익은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br /> <br />특단의 조치가 없으... (중략)<br /><br />YTN 김상우 (kimsang@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524093948564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Buy Now on CodeCany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