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스며든 비대면 진료…코로나 이후에도 유지될까<br /><br />[앵커]<br /><br />코로나 시국에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 엔데믹을 앞두고 존폐의 갈림길에 섰습니다.<br /><br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만큼 제도화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지만 아직 풀어야 할 난제는 산적해 있습니다.<br /><br />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br /><br />[기자]<br /><br />코로나19 유행이 극심하던 재작년 2월, 정부는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의료법상 불법인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했습니다.<br /><br />긴급 상황에 갑작스럽게 도입됐음에도 비대면 진료는 사람들의 삶에 안착한 모습입니다.<br /><br />비대면 진료 이용 건수는 도입 직후부터 유행이 잦아든 최근까지 한 달에 10~20만 건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br /><br />오미크론이 크게 유행한 연초에는 50만 건에 육박하기도 했습니다.<br /><br />엔데믹 상황에 맞게 진료 과목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입니다.<br /><br />제도 도입 목적인 코로나19 치료보다 소아과, 피부과 등 다른 과목의 비중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br /><br /> "2, 3월에는 코로나가 많았고, 지금 저희가 타깃하고 있는 환자들은 만성질환자들…애기들 데리고 나가는 게 엄청난 일이니까 (소아과)…내과 환자들, 탈모 환자들…"<br /><br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업계 안팎에선 비대면 진료가 제도화될 거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br /><br />업체들은 이미 제도화가 가능한 영역을 판단해 서비스 개편에 나섰고<br /><br /> "어디까지 허용 범위를 줄지에 대한 논의를…저희는 재진 위주로 서비스를 보고 있긴 했었거든요."<br /><br />상위권 업체들은 최근 수백 억 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br /><br />새 정부가 국정 과제로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선정한 점도 긍정적 전망에 힘을 실었습니다.<br /><br />하지만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br /><br />의료계에는 여전히 반대 의견이 높고 불법 의료 행위를 막을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합니다.<br /><br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chaletuno@yna.co.kr)<br /><br />#비대면진료 #원격의료 #오미크론<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