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전 세계적인 에너지 공급망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한 새로운 에너지 정책 방향을 발표했습니다. <br /> <br />특히 원전 비중을 오는 2030년까지 30% 이상 확대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사실상 폐기했습니다. <br /> <br />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정부가 20여 차례의 의견 수렴을 거친 '새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을 내놨습니다. <br /> <br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불안 고조에 따른 에너지 안보 강화가 핵심입니다. <br /> <br />전력 생산에서 현재 27%인 원자력 발전 비중을 오는 2030년까지 30% 이상 확대하며 원전을 18기로 줄이려던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대내외적으로 대체합니다. <br /> <br />특히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를 준비하고,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하는 한편, SMR, 즉 소형 모듈 원자로 개발을 추진해 원전 생태계의 활력을 복원한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문재인 정부에선 2030년까지 20%로 늘릴 예정이던 재생 에너지도 국내 산업 경쟁력보단 중국산 태양광 수입만 키웠다는 지적에 따라 합리적으로 조정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또 수소차와 연료전지, 수소 선박, 수소 터빈, 수전해 등 5대 수소 핵심 기술 자립을 추진합니다. <br /> <br />이렇게 원전과 재생, 수소 에너지의 조화를 통해 현재 81.8%인 화석 연료 수입 의존도를 2030년까지 60%로 줄인다는 방침입니다. <br /> <br />특히 자원 안보 특별법을 제정해 국가 자원 안보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조기 경보 시스템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에너지와 자원의 전략 비축을 늘리고, 공기업의 자원 확보 기능을 재정립하는 한편, 민간의 해외 자원 개발 투자도 활성화한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전력 요금은 총괄 원금 보상 원칙에 따라 원가와 연계해 설정한다는 방침입니다. <br /> <br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의 새로운 에너지 정책 방향을 전력 수급 기본 계획과 국가 탄소 중립 녹색성장 기본 계획 수립을 통해 구체화한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YTN 이승윤입니다. <br /> <br /> <br /> <br /><br /><br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7051120513800<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