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취임 후 첫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 새 정부 5년간 재정운용 방향과 재정개혁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br /> <br />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청주 충북대 개신문화관에서 열린 '2022년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주재했다. <br /> <br /> 이날 회의에서는 '바로 서는 나라재정!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새 정부의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분야별 재정지원 방안, 재정수지·국가채무 등 중장기 재정건전성 관리 방안, 재정의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재정개혁 과제 등 새 정부 5년간의 국가재정운용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br /> <br /> 윤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2017년 600조원이었던 국가채무가 금년 말이면 1000조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여기에 고물가, 고금리, 저성장의 복합 위기를 맞고 있어 이러한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부터 솔선해서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고 말했다. <br /> <br /> 이어 "공공부문의 자산을 전수조사해서 기관 보유의 기능과 연관성이 낮은 자산부터 적정 수준으로 매각 처분해야 한다"며 "예산만 투입하면 저절로 경제가 성장하고 민생이 나아질 것이라는 그런 재정만능주의라는 환상에서 이제 벗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br /> <br /> 윤 대통령은 "정부는 성역 없는 고강도 지출 구조 조정으로 국민들의 혈세가 허투루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절약한 재원은 꼭 필요한 데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br /> <br /> 또한 "재정개혁도 뒷받침되어야 한다"면서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정준칙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복잡한 재정준칙은 지키기 ...<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5154?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