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담대한 구상 논의…권영세 "북, 순항미사일로 답변한 것 아냐"<br /><br />[앵커]<br /><br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권영세 통일부 장관, 박진 외교부 장관이 출석한 가운데 '담대한 구상'을 논의하는 전체회의를 열었습니다.<br /><br />권 장관은 북한의 순항미사일 발사가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대한 반응은 아닌 것으로 평가했습니다.<br /><br />지성림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국회 외통위 회의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 비핵화 보상 방안으로 제안한 '담대한 구상' 논의가 이어졌습니다.<br /><br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인 '비핵·개방 3000'과 뭐가 다르냐는 질문에 "북한의 체제 안전 우려도 다룬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고 답했습니다.<br /><br />그러면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가 분명하다면 핵 폐기 완료 전에도 북미 수교 협상이 가능하다는 취지의 언급도 했습니다.<br /><br />특히 권 장관은 윤 대통령의 제안 이틀 만에 북한이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한 것은 '담대한 구상'과 연관이 없어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br /><br /> "그 부분이 반드시 '담대한 구상'에 대한 답변이라고 보는 건 무리가 있다. 자기네들의 무기 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정도…"<br /><br />박진 외교부 장관은 '담대한 구상' 이행을 위해 미국 등 주요국과도 긴밀한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이와 함께 박 장관은 일본에 관계개선을 구걸하고 '저자세 외교'를 한다는 야당 의원 주장은 강하게 반박했습니다.<br /><br /> "오히려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을 촉구하면서 일본을 견인하는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br /><br />우리 대법원 결정으로 강제징용 피해 보상의 현금화가 실현될 경우 일본의 보복 조치가 예상된다는 우려엔 "여러가지 가능성을 전부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br /><br />한편, 박 장관은 사드 문제는 중국과 협의할 수 없는 "안보 주권 사안"이라며 지난 정부에서도 입장을 좀 더 분명히 했더라면 중국의 '3불' 요구가 지금까지 이어지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br /><br />(yoonik@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