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고물가'의 늪에 빠진 가운데, 튀르키예의 물가 상승률은 무려 80%에 이릅니다. <br /> <br />튀르키예 정부는 고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최저임금을 대폭 올렸지만, 자영업자들 부담이 커진 건 물론이고 노동자들 역시 여전히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br /> <br />임금이 올라도 웃는 사람이 없는 사연, 임병인 리포터가 전합니다. <br /> <br />[기자] <br />튀르키예에서 한식당을 운영하는 이병우 씨. <br /> <br />식당을 찾는 손님들은 코로나19 때보다 늘긴 했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습니다. <br /> <br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데다 최저임금도 큰 폭으로 올라, 빠져나가는 돈이 그만큼 늘었기 때문입니다. <br /> <br />튀르키예에서 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 현지 인력을 다섯 명 이상 고용해야 하다 보니 자영업자들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br /> <br />[이병우 / 한식당 사장 : 올해 들어서 물가 상승률도 많이 높아지고 임금 상승, 4대 보험료 상승 등 모든 게 많이 올랐어요. (그래서) 이번 달에 메뉴 가격을 전체적으로 올렸어요. 그거에 따라 손님도 많이 줄고 매출도 줄어든 경향이 있죠.] <br /> <br />튀르키예의 지난달 물가 상승률은 79%. <br /> <br />튀르키예 정부는 '고물가' 대응책으로 최저임금을 크게 올렸습니다. <br /> <br />이에 따라 최저임금은 지난해 월 2,800여 리라에서 올해 초 4,200여 리라로 무려 50% 상승했습니다. <br /> <br />지난달(7월)엔 여기에 30%를 더 인상해 현재 최저임금은 5,500리라, 우리 돈 40만 원 정도입니다. <br /> <br />최저임금으로 일하는 노동자는 튀르키예 전체 노동자의 40%에 달하는데요. <br /> <br />올해 상반기에만 두 번 오른 임금으로 이들의 숨통은 트였는지 직접 이야길 들어봤습니다. <br /> <br />경제 위기로 생활이 어려워진 메흐탑 씨는 최근 가구 생산 업체에서 맞벌이를 시작했습니다. <br /> <br />임금이 오른 덕분에 지갑에 들어오는 돈은 늘었지만, 한숨은 끊이지 않습니다. <br /> <br />식료품은 물론이고, 월세와 전기세 등 그야말로 모든 것이 이미 임금 인상 폭보다 더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br /> <br />[메흐탑/ 튀르키예 이즈미르 : 식료품과 주유비 정도만 계산할 때는 생활이 조금 나아질 거라고 기대를 했죠. 하지만 지금 인플레이션 물가에는 턱없이 부족한 인상 금액입니다. 어려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br /> <br />다른 노동자들도 상황은 마찬가지. <br /> <br />지금 임금으로는 물가를 버텨내기 어려운 만큼, 비정상적으로 치솟은 물가부터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br /> <br />[훌리야/ 튀르키예 ... (중략)<br /><br />YTN 임병인<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0821070315173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