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값 불안에 더 절실한 수소에너지…과제도 산적<br /><br />[앵커]<br /><br />석유, 가스에 석탄까지 수입해쓰는 한국에서 에너지 공급망 불안은 더 큰 위기로 다가오고 있죠.<br /><br />미래에너지로서 수소의 활용은 그래서 더욱 중요한 대안으로 꼽히는데요.<br /><br />하지만 인프라 구축과 비용 문제는 넘어야 할 과제입니다.<br /><br />김장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br /><br />[기자]<br /><br />올해 전기트럭 출시 계획을 밝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 경영자의 트위터입니다.<br /><br />주목할 부분은 머스크가 전기트럭을 언급한 지 6년 만의 출시란 점입니다.<br /><br />전문가들은 전기상용차의 상용화가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하는데, 바로 수소전기차가 장점을 갖는 대목입니다.<br /><br /> "전기로 대형 트럭을 운영하면 상당히 큰 규모 배터리가 필요하고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는데요. 수소차는 이렇게 큰 배터리가 필요 없어서 대형 트럭이나 버스에 적합한 방식입니다."<br /><br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수소전기차는 판로 확대가 어려운데, 가장 큰 원인은 인프라 부족입니다.<br /><br />실제로 국내에 수소차 충전소는 123곳 뿐인데, 전문가들은 450곳은 되어야 이용에 충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br /><br />연료용 수소의 추출 과정도 큰 과제입니다.<br /><br />통상 천연가스 등 다른 화석연료에서 연료용 수소를 뽑아내는데, 이 과정에서 다량의 탄소가 배출되고 가성비도 떨어지게 됩니다.<br /><br />이렇게 만들어진 수소가 '회색 수소'로 불리는 이유입니다.<br /><br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원전과 재생에너지 생산을 통해 남은 전기를 전환하는 '그린 수소'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br /><br /> "남은 전기로 수소를 뽑아서 압축 용기에 보관했을 경우에 최소 18개월까지 성능이 보장되기 때문에 이걸 갖고 다시 전기를 뽑아 쓰거나 자동차 연료로 쓸 수 있습니다."<br /><br />전문가들은 그린수소로 가는 중간 단계로 블루수소도 언급하는데, 이를 위해선 화석연료에서 수소를 추출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따로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의 상용화가 필요합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br /><br />#연료용수소 #그린수소 #그레이수소 #수소전기차<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