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방역' 전환 넉 달…"중장기 계획 시급"<br /><br />[앵커]<br /><br />코로나 재유행은 사그러들고 있지만 겨울철 코로나가 또 유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며 불안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br /><br />정부는 '과학방역'을 강조하고 있지만 계획과 실행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나옵니다.<br /><br />김민혜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과학방역을 내세우며 기존 정부와 차별화를 강조했던 인수위.<br /><br />(지난 4월) "새 정부의 방역정책은 한마디로 거버넌스(관리체제) 개편과 대국민 소통강화입니다."<br /><br />이에 맞춰 민간전문가들로 구성된 감염병 자문위원회가 꾸려졌고, 일상의료체계 안에서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검사부터 처방까지 맡는 원스톱 진료기관도 마련됐습니다.<br /><br />하지만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시행한다던 정책들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입니다.<br /><br />요양시설 등 집단감염 우려 시설을 대상으로 강화하려던 환기설비 기준은 재정 문제로 성과가 없고<br /><br />(지난달 3일) "용역 결과에 따라서 재정당국과도 또 협의가 필요합니다. 용역이 끝나고 나서 세부 방침을 드리겠고요."<br /><br />최소화한다는 사회적 거리두기는 시행 기준이 구체화한 게 없습니다.<br /><br />(지난 7월) "재유행 예측 범위 내에서 치명률이 증가하는 등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br /><br />고위험군 관리에 중점을 둔 '표적방역'에는 기존 방역정책과 무엇이 다르냐는 비판이 나옵니다.<br /><br />사정이 이렇다보니 얼마 전 한 여론조사에선 정부의 재유행 대응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응답이 효과적이란 응답의 2배를 넘었습니다.<br /><br />코로나 유행이 당분간 반복될 가능성은 큰 상황에서, 중장기 계획 마련도 시급합니다.<br /><br /> "각종 데이터 발표가 중요한게 아니라 데이터를 가지고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할 거냐가 중요한데, 가장 큰 문제가 방향성이 없어요. 지금 전환기의 상황이에요. 여기에 맞춰서 (시기적으로) 뭘 할지에 대해서 자리를 잡아야 되고 지금 준비를 해놔야"<br /><br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makereal@yna.co.kr)<br /><br />#과학방역 #표적방역<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