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째 이어지고 있는 물가 오름세에 소비자들의 지갑이 굳게 닫히면서 오래된 옷과 골동품을 싸게 파는 구제시장 상인들도 울상입니다. <br /> <br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던 지난해보다 시장을 찾는 사람들이 늘긴 했지만, 정작 물건을 사가는 손님은 없다는데요. <br /> <br />시장에 입고되는 물품까지 줄어들어 더욱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br /> <br />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태원 기자! <br /> <br />[기자] <br />네, 서울 숭인동 동묘구제시장에 나와 있습니다. <br /> <br /> <br />손님들이 시장에 꽤 많아 보이는데요. 코로나19 이전보다 상황이 나아졌습니까? <br /> <br />[기자] <br />시장에 늘어선 구제 의류 가게와 노점상에는 한낮부터 손님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 <br />싸게는 5천 원부터 최대 만 원까지 하는 구제 의류에다 신발과 가방 등도 값싸게 판매하고 있는데요. <br /> <br />그러나 선뜻 물건을 산다는 손님은 많지 않다고 합니다. <br /> <br />상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br /> <br />[왕재호 / 구제 의류매장 운영 : 찾는 손님들은 많아졌는데 물가가 오르다 보니까 사람들이 예전처럼 돈을 쓰는 게 아니라 자기가 입던 거 그대로 입고 원하는 거 아니면 잘 안 사는 것 같더라고요.] <br /> <br />이곳은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구제 시장 가운데 하나입니다. <br /> <br />방송에도 여러 번 등장하면서 코로나19 이전엔 많게는 하루 10만 명 가까이 이곳 동묘 구제시장을 찾았다고 합니다. <br /> <br />그러나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감염을 걱정하는 소비자들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시장 방문을 꺼리게 됐고요. <br /> <br />저렴한 옷을 찾는 외국인 노동자들이나 작업복을 대량 구매하는 공사 업체와의 거래도 줄면서 매출에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br /> <br />올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면서 상황이 나아지는가 싶더니 이젠 고물가가 새로운 악재로 닥쳐왔습니다. <br /> <br />가뜩이나 팍팍해진 주머니 사정에 소비자들이 생필품이 아니라면 구매를 꺼리는 분위기가 이곳에도 반영된 겁니다. <br /> <br />소비 심리가 꽁꽁 얼어붙으니 동묘 시장 상인들은 매출이 많게는 70% 가까이 줄어든 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고충을 토로합니다. <br /> <br />게다가 구제시장은 주로 사람들이 쓰던 의류나 골동품을 다시 파는 곳인데, 입고되는 물건 자체가 줄었습니다. <br /> <br />오르는 물가 탓에 사람들이 의류나 물건을 계속 쓰면서 버리질 않아 집하장에서 가져올 물건이 줄어든 겁니다. <br /> <br />여기에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 온라인 중고 거래... (중략)<br /><br />YTN 김태원 (woni0414@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10111613160335<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