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금리의 벤치마크가 되는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가 38년 만에 최장기 상승하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에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br /> <br />다음 달 미국 연준의 4연속 자이언트 스텝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속도 조절론도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br /> <br />국제부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태욱 기자! <br /> <br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어느 정도나 오른 것입니까? <br /> <br />[기자] <br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이번 주에만 0.2%포인트 가까이 올랐습니다. <br /> <br />주간 단위로 보면 12주 연속 상승을 기록한 것으로 1984년 이후 가장 긴 상승세입니다. <br /> <br />현재 금리는 4.2%대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br /> <br />뉴욕타임스는 통상 작은 규모로 서서히 움직이는 장기 국채 금리가 이처럼 크게 출렁이는 것은 드문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br /> <br />40년 만의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연준의 연속적인 대폭 금리 인상과 그 뒤를 따르는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동반 금리 인상으로 채권시장이 얼어붙은 여파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br /> <br /> <br />가까운 시일 내에 금리가 내려가지 않을 텐데요. 다음 달 연준은 또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까? <br /> <br />[기자] <br />당장 다음 달 초에 미국 연준의 정례회의가 예정돼 있는데요. <br /> <br />다시 0.75%포인트의 인상이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br /> <br />이렇게 되면 4번 연속 자이언트 스텝이 이뤄지는 것인데요. <br /> <br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준 총재는 당분간 금리를 계속 올릴 것이라고 말해 이런 관측에 힘을 실었습니다. <br /> <br />그런 만큼 미국의 국채 금리가 곧 안정화되기에는 쉽지 않아 보이는 상황입니다. <br /> <br /> <br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대해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죠? <br /> <br />[기자] <br />연말부터는 인상 폭 완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가 나왔는데요. <br /> <br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금이 기준금리 인상 폭의 단계적인 축소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br /> <br />데일리 총재는 시장이 이미 11월의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반영하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영원히 75일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br /> <br />연준이 과도한 통화 긴축으로 경제를 침체에 빠뜨리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인데요. <br /> <br />월스트리트저널은 연준이 올해 마지막인 12월 회의에는 인상 폭을 0.5%포인트로 낮... (중략)<br /><br />YTN 강태욱 (taewookk@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21022120627656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