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과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사태 등으로 자금시장 경색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긴급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br /> <br />먼저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 원 넘는 규모로 확대해 운영하기로 했고 지자체가 보증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에 대해서는 모든 지자체가 지급보증 의무를 이행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강희경 기자! <br /> <br />회의 결과 자세히 전해주시죠. <br /> <br />[기자] <br />네, 최근 자금시장 경색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경제·금융당국 수장들이 긴급 회의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br /> <br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등이 모두 참석했는데요. <br /> <br />회의가 끝난 뒤 추경호 부총리는 최근 회사채 시장과 단기 금융시장의 불안심리 확산, 유동성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 원 이상의 규모로 확대해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이 가운데 20조 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는 내일부터 곧바로 가동되는데요. <br /> <br />1조 6천억 원 규모의 가용 재원을 우선 활용해 내일부터 회사채·기업어음 매입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추가 펀드 자금요청 작업에도 속도를 내 다음 달 초부터 본격적으로 집행하고 필요하다면 추가 조성도 추진할 방침입니다. <br /> <br />이와 함께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회사채·기업어음 매입 프로그램의 매입 한도가 기존 8조 원에서 16조 원으로 확대되고, <br /> <br />프로젝트파이낸싱 자산유동화기업어음 어려움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증권사에 대해서는 3조 원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최근 강원도가 레고랜드 건설을 위해 발행한 프로젝트파이낸싱 자산유동화기업어음의 채무에 대한 보증을 서지 못하겠다고 밝힌 이후 채권을 중심으로 자금시장이 빠르게 경색돼왔는데요. <br /> <br />이와 관련해서도 정부는 부동산 PF 시장 불안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지자체가 보증하는 자산유동화기업어음에 대해서는 모든 지자체가 지급보증 의무를 성실히 이행할 예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강희경입니다. <br /> <br /> <br /> <br /><br /><br />YTN 강희경 (kanghk@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10231550259034<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