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50조+α' 공급…강원도발 불안 진화 나서<br /><br />[앵커]<br /><br />지난달 강원도 레고랜드의 변제 불능 사태에서 시작된 자금 경색이 심각해지자 정부가 휴일에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시장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원+α 규모로 확대하는 대책을 내놨습니다.<br /><br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보증채무는 지자체가 책임진다고도 확약했습니다.<br /><br />김동욱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정부가 자금시장 경색과 불안심리 확산을 막기 위해 채권시장안정펀드 등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50조원 이상으로 확대합니다.<br /><br />최대 20조원인 채권안정펀드는 활용 가능한 1조6,000억원으로 즉각 회사채, 기업어음 매입을 재개하고 가용재원을 확충합니다.<br /><br />산업은행 등의 회사채·기업어음 매입 프로그램 한도도 2배인 16조원으로 늘리고 유동성이 부족한 증권사에 증권금융이 유동성 3조원을 지원할 방침입니다.<br /><br />정부는 이번 사태를 증폭시킨 레고랜드 사태와 관련해 전국 지자체 보증채무 이행의사도 재확인했습니다.<br /><br /> "지자체 보증 ABCP에 대해서는 모든 지자체가 지급보증 의무를 성실히 이행할 예정임을 다시 한번 확약드립니다."<br /><br />한국은행은 은행들에게 대출할 때 받는 적격담보대상 증권에 공공기관채, 은행채까지 넣는 방안을 27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논의하고 필요시 추가 대책도 내놓기로 했습니다.<br /><br />하지만, 한은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11월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관측에는 선을 그었습니다.<br /><br /> "은행 중심으로한 자금 순환에 관해 문제 있는게 아니고 기업어음 시장 중심으로 문제된거라 이를 겨냥한 미시 정책이라 거시 통화정책 전제조건이 바뀌었다 생각하지 않습니다."<br /><br />금융당국은 금융사들과 핫라인 구축 체계를 마련하고, 시장 불안을 조성하는 교란행위도 엄중하게 단속할 계획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dk1@yna.co.kr)<br /><br />#유동성공급 #채권시장안정펀드 #기재부 #한은 #금융위<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