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생명발 악재에 외화채권 발행 위축 우려<br /><br />[앵커]<br /><br />흥국생명의 5억 달러 규모 영구채 조기상환이 불발되면서 외화채권 시장이 더 얼어붙을 것으로 보입니다.<br /><br />레고랜드 사태 이후 자금시장의 불안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달러 조달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br /><br />김동욱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흥국생명이 이달 9일로 예정된 5억 달러 규모 신종자본증권, 영구채의 조기상환을 실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br /><br />국내외 투자심리 악화 등으로 상환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br /><br />조기상환 미실시가 채무불이행은 아니지만, 만기가 긴 영구채 투자자들은 조기상환을 염두에 두고 투자해온 만큼 시장의 신뢰가 깨져 향후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br /><br />국내 금융기관의 신종자본증권 조기상환 미실시는 2009년 우리은행 이후 처음인데, 당시에도 한국물 채권 가격 급락 등 금융시장 전반에 타격을 준 바 있습니다.<br /><br />특히나 최근 국내 자금시장 경색으로 정부가 외화채권 발행 확대를 독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금조달 리스크가 확대될까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br /><br /> "해외에서 국내 기관들이 발행하게 될 상황에서 조금 투자 수요나 이런 게 위축된 상황이었고요. 이번 이벤트가 발생하면서 조금 더 위축될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아요."<br /><br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사태로 시장의 신뢰가 무너진 국내 채권시장 불안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br /><br />중견 건설사인 한신공영의 회사채가 최고 금리 연 65%에 유통됐는데, 이례적인 거래라지만 최근의 시장 분위기가 반영된 것이라는 반응이 나옵니다.<br /><br />정부와 한은, 금융권이 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대책들을 내놓고 있지만, 여기저기서 시장의 경고등은 계속 켜지고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dk1@yna.co.kr)<br /><br />#흥국생명 #신뢰 #해외채권 #된서리 #레고랜드 #회사채<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