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사는 신종도시재난'…사전 경고음 불구 대비 소홀<br /><br />[앵커]<br /><br />서울시는 2년 전 인파에 의한 압사를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신종도시재난'으로 분류한 바 있습니다.<br /><br />매년 대규모 인파가 모이는 이태원 핼러윈 축제와 관련해선 용산구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는데요.<br /><br />이런 경고음은 실질적 대책으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br /><br />박상률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한정된 공간에 많은 사람이 밀집한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다.'<br /><br />2016년 서울시 산하 서울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실린 내용입니다.<br /><br />압사 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br /><br />2020년에도 비슷한 내용의 보고서가 나왔고 비상 차선이나 대피로 확보 등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대책을 제시했습니다.<br /><br />한 해 앞선 2019년에는 용산구의회 차원에서 이태원 핼러윈 축제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br /><br />당시 일부 구의원들은 "핼러윈 축제 때 많은 인구가 몰려오는데 대응을 못 하고 있다"며 혼잡 상황과 관련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br /><br />위험 신호는 곳곳에서 울렸지만, 실질적인 대책으로 이어지진 않았습니다.<br /><br />일 년에 1조5천억 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서울시의 '안전총괄실'에 대한 역할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br /><br />재난 대응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경부간선도로와 강변북로 지하화 추진, 지하도 소상공인 지원 등을 역점 사업으로 두고 있습니다.<br /><br />서울시는 안전총괄실의 기능을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조직과 임무 등에 변화를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br /><br />한편, 오세훈 시장은 이태원 참사 발생 뒤 윤석열 대통령보다 19분 늦은 지난달 29일 오후 11시 20분 상황을 처음 보고받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 (srpark@yna.co.kr)<br /><br />#이태원_참사 #서울시_대응 #인파_압사 #신종도시재난 #안전총괄실<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