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소방서 핼러윈 기간 긴급상황 위해 구급차 1대 대기 <br />참사 무관한 구조 활동 투입…밤 11시 넘어서 현장 도착 <br />"장비·인력 부족해 관내 다른 사건 대응 불가피" <br />순찰 있었지만 초동조치 ’0건’…경찰 공조 요청도 없어<br /><br /> <br />이태원 참사 당시 종로소방서 소속 구급차가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했는데요. <br /> <br />참사 전 용산소방서에서 긴급상황에 대비해 구급차 1대를 현장 근처에 대기시킨 것으로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br /> <br />정작 이 차량은 이태원 참사와 관련 없는 다른 신고를 처리하느라 자리를 비웠습니다. <br /> <br />김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이태원 참사 당시 가장 먼저 현장에 출동한 구급차는 서울 종로소방서 소속이었습니다. <br /> <br />밤 10시 15분 신고를 받고 3분 뒤 출발해, 현장엔 27분 만에 도착했는데, <br /> <br />이태원역 주변에 몰려든 인파 탓에 자정이 다 돼서야 병원에 닿을 수 있었습니다. <br /> <br />그런데 서울 용산소방서가 핼러윈데이 기간 긴급상황에 대비해 구급차 1대를 현장에 대기시켰던 사실이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br /> <br />관련 공문을 보면, 핼러윈 축제 앞뒤로 닷새 동안 안전사고 예방 등을 위해 구급차 한 대 등 차량 세 대를 대기시킨다고 돼 있습니다. <br /> <br />그렇다면 참사 현장에서 가장 가까이 배치됐던 구급차가 정작 일분일초가 급한 상황에선 제일 먼저 구급 활동에 나서지 못한 이유는 뭘까? <br /> <br />대기하고 있던 용산소방서의 구급차는 밤 10시 5분 참사와 무관한 주취자 구조 활동에 투입됐다가 이미 심정지 환자가 여럿 나온 밤 11시 13분에야 현장에 올 수 있었습니다. <br /> <br />소방당국은 장비가 부족해 관내 다른 사건에도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합니다. <br /> <br />[서울 용산소방서 관계자 : 가까운 데 일어나는 사고는 관내에서 출동하되 거기 출동이 없을 경우에는 관내에 대기하는 거로….] <br /> <br />지켜지지 않은 약속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br /> <br />용산소방서는 핼러윈 기간 '재난 발생 시 초동조치'를 위해 매일 저녁 6시에서 밤 10시 사이 12명이 일대를 순찰한다고 써놨습니다. <br /> <br />순찰 시간 내내 일대에서 '재난 상황'이 벌어졌지만 소방의 초동조치는 없었고, <br /> <br />진입로 확보 등을 위한 경찰 공조 요청 역시 참사 발생 전까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br /> <br />이에 대해 소방서 관계자는 순찰의 목적은 화재 예방에 있었을 뿐 안전사고 예방은 업무 범위가 아니라고 답했습니다. <br /> <br />때문에, 비슷한 참사를 막으... (중략)<br /><br />YTN 김철희 (kchee21@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1107220127029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