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회복 속도…연말 안전운임제 개선안 마련<br /><br />[앵커]<br /><br />화물연대 총파업 철회 사흘째에 접어들면서 전국 주요 산업 현장의 물류 흐름이 회복되고 있습니다.<br /><br />현재 상황은 어떤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br /><br />최덕재 기자.<br /><br />[기자]<br /><br />네,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현업에 복귀하면서 전국 산업 현장의 물류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br /><br />다만 피해가 컸던 일부 업계에선 피해 복구에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전망입니다.<br /><br />화물연대 파업 당시 컨테이너 반출량이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기준으로 평소의 5%인 하루 150개선까지 내려갔던 평택항은 파업 종료 결정 후 지난 9일 3,315개까지 늘었습니다.<br /><br />전남 광양항과 인천항도 화물 반출입량이 파업 이전보다 높아졌습니다.<br /><br />이밖에 정부의 첫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졌던 시멘트 분야, 품절 사태를 빚었던 주유소 등 각 업계가 평소 모습을 찾아가고 있지만, 일부 피해가 컸던 업계에서는 회복에 더 시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br /><br />파업 기간 시멘트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해 정상 가동에 어려움을 겪은 레미콘 업체들이 대표적입니다.<br /><br />지난달 하순부터 레미콘 타설 작업이 중단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현장 건설업체들은 모든 수단을 동원해 준공 일정을 지킨다는 방침입니다.<br /><br />[앵커]<br /><br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연말까지 안전운임제 개선안을 마련한다고 했는데요.<br /><br />이 내용도 전해주시죠.<br /><br />[기자]<br /><br />정부는 현장에 복귀한 화물연대 차주들에 대해 고발 철회는 없다며 원칙 대응을 강조했습니다.<br /><br />그러면서 안전운임제 문제는 연말까지 개선안을 마련하겠다고 했습니다.<br /><br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안전운임제 3년 연장은 3년마다 같은 문제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반대하면서 개선안 마련이 필수라고 설명했습니다.<br /><br />또 필요하면 논의가 해를 넘길 수 있지만 큰 문제는 아니라고 언급했습니다.<br /><br />급격히 냉각된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는 고금리 현상으로 내년에도 약세를 예상하면서 가격 상승기에 도입된 규제를 과감히 풀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또, 민간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해 연내 '등록임대사업 규제 완화 방안'도 발표하겠다고 전했습니다.<br /><br />지금까지 정부서울청사에서 전해드렸습니다. (DJY@yna.co.kr)<br /><br />#화물연대파업 #회복 #건설 #안전운임제 #개선안 #국토부장관<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