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회복 속도…건설·레미콘은 정상화에 시간 걸려<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화물연대 총파업 철회 사흘째에 접어들면서 전국 주요 산업 현장의 물류 흐름이 회복되고 있습니다.<br /><br />다만 피해가 컸던 일부 업계에선 피해 복구에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전망입니다.<br /><br />최덕재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화물연대 파업 당시 컨테이너 반출량이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기준으로 평소의 5%인 하루 150개선까지 내려갔던 평택항.<br /><br />하지만 파업 종료가 결정된 지난 9일엔 3,315개까지 늘었습니다.<br /><br />특히 피해가 컸던 중소 운송업체들은 '숨통이 트였다'고 말합니다.<br /><br /> "화주들이 다른 운송업체로 넘어가거나 해버리면 작은 운송업체들은 (다시) 잡아오는 게 되게 힘들기 때문에…그 업체도 이제 살았다 하는 거죠."<br /><br />전남 광양항과 인천항도 화물 반출입량이 파업 이전보다 높아졌습니다.<br /><br />정부의 첫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졌던 시멘트 분야, 품절 사태를 빚었던 주유소 등 각 업계가 평소 모습을 찾아가고 있지만, 일부 피해가 컸던 업계에서는 회복에 더 시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br /><br />파업 기간 시멘트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해 정상 가동에 어려움을 겪은 레미콘 업체들은 대표적입니다.<br /><br /> "물량이 딸린다는 얘기를 하고 있는 거예요. 시멘트 재고가 없어서 하루 생산해서 하루 출하하면 없는 시스템이었어요."<br /><br />지난달 하순부터 레미콘 타설 작업이 중단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현장 건설업체들은 모든 수단을 동원해 준공 일정을 지킬 계획입니다.<br /><br /> "실제로 데미지 있는 건 일주일이에요. 조금 영향은 있습니다만 다른 공정들을 오버랩 해가지고 하면 (준공을) 맞출 수 있습니다."<br /><br />둔촌주공 재건축 외에도 레미콘 부족 등으로 공사에 차질을 빚은 전국 500여개 공사 현장들도 정상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kr)<br /><br />#화물연대파업 #컨테이너반출량 #피해복구 #둔촌주공 #레미콘<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