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라는 도전 과제를 다루기 위해 한미일 3국 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미국 당국이 6일 밝혔습니다. <br /> <br />또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뿐 아니라 인권 유린 등에도 깊은 우려를 표하면서 북한 주민을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입장도 재차 피력했습니다. <br /> <br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다음 주 열리는 미국과 일본의 정상회담과 외교·국방장관 '2+2 회담'과 관련한 질문에 "일본과의 양자 관계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이라는 공동비전에 있어 필수"라고 말했습니다. <br /> <br />프라이스 대변인은 "하지만 몇몇 도전 과제가 있고, 그중 최상위에 북한이 있다"며 "효과적인 한미일 3국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게 특히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그는 "조 바이든 정부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우리가 기회뿐 아니라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그 도전은 원활하고 통합된 3자 접근으로 도움이 되리라는 것을 인식하며 처음부터 한국, 일본을 하나로 묶는 3자 체제를 활성화하려 노력해왔다"고 언급했습니다. <br /> <br />그러면서 "이는 (미일 회담에서) 대화 주제가 될 것이며 동맹인 한국과의 대화 주제이기도 하다"고 덧붙였습니다. <br /> <br />이어 '국무부 대북인권특사 지명 절차가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현재로선 발표할 계획이 없다"며 "하지만 우리가 대북 접근법을 검토할 때 북한으로부터의 모든 도전 과제를 고려한다고 말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미국은 2004년 북한인권법 제정과 함께 국무부에 대북인권특사를 뒀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2017년부터 공석입니다. <br /> <br />바이든 정부는 임명 방침을 여러 차례 밝혀왔지만, 아직 지명 움직임이 없는 상태입니다. <br /> <br />프라이스 대변인은 "우린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핵무기 프로그램이 주는 위협을 가장 많이 얘기한다"며 "또 돈세탁이든 악의적 사이버 프로그램이든, 조직적인 인권유린이든 북한에서 발생하는 악의적 활동과 영향에 관해서도 얘기한다"고 말했습니다. <br /> <br />또 "우린 북한 주민이 기근과 영양실조는 물론 그들 정부가 가하는 억압으로 인해 엄청난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했습니다. <br /> <br />그는 "그것들은 미국은 물론 인태 지역 동맹과 전 세계 파트너들에게 깊은 우려"라며 대북인권특사 지명 여부를 떠나 이 문제가 미국의 초점이라고 언급했습니다. <br /> <br />그는 "우린 북한의 탄도미사일, 핵무기 프로그램으로 인한 강력한... (중략)<br /><br />YTN 임수근 (sglim@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30107080926160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