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올해 업무보고에서 선제 타격 개념인 킬체인을 강화해 공세적 3축 체계를 갖추겠다고 보고했습니다. <br /> <br />이와 함께 최근 논란이 된 북한 무인기 사태의 후속 조치들도 보고했는데 과거의 대책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br /> <br />신준명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국방부의 올해 첫 업무보고는 공세적인 대북 억제력 확보에 중점을 뒀습니다. <br /> <br />한국형 3축 체계 가운데 도발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 선제 타격한다는 '킬체인' 능력을 실질적으로 확보하겠다는 건데, <br /> <br />이를 위해 군은 올해 안으로 정찰위성 1호기를 쏘아 올려 북한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정보·감시·정찰(ISR) 능력을 자체적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이종섭 / 국방부 장관 : 이러한 (3축 체계) 능력을 제대로 갖추려면 정보자산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래서 정보·감시·정찰 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해서 올해에 군 정찰 위성 1기를 발사하게 됩니다.] <br /> <br />국방부는 북한이 미사일을 쏘기 전에 이를 교란하고 파괴하는 작전 개념을 발전시키겠다며 이를 위해 극초음속 비행체 핵심 기술을 확보해 북한 전 지역에 대한 정밀 타격 능력을 강화하겠다고도 강조했습니다. <br /> <br />국방부는 업무보고에서 북한 무인기 사태와 관련한 후속 조치들도 보고했습니다. <br /> <br />합동드론사령부 조기 창설, 국지방공레이더 확충, 드론 건 확보 등입니다. <br /> <br />특히, 스텔스 무인기와 드론 잡는 드론 생산 등 공세적인 방향의 대응책도 제시했습니다. <br /> <br />[이종섭 / 국방부 장관 : 스텔스 무인기 그리고 드론 킬러 드론, 이러한 것들도 개발해서 우리도 필요시에 좀 더 공세적으로 작전을 하겠다고 보고 드렸습니다.] <br /> <br />하지만 지난 2014년과 2017년 북한 무인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했을 당시 내놓은 저고도 레이더 도입, 레이저 무기 검토 등의 대책과 큰 차이가 없어 실효성은 의문입니다. <br /> <br />[신종우 /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군에서 내놓은 대책이라는 게 기존의 대책과 별반 차이가 없는 거 같은데 실전적인 대응 전술을 만드는 것이 우선적이고….] <br /> <br />특히 전방에서 무인기를 탐지하고도 전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대응이 늦어졌다는 점이 드러난 만큼 군의 부족한 작전 능력을 보완하는 대책이 강조돼야 한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br /> <br />YTN 신준명입니다. <br /> <br /> <br /><br /><br />YTN 신준명 (shinjm7529@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30111215148452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